삼성·신한 자체AI 마케팅 접목
고객응대 품질·효율 강화나서
KB는 혁신금융서비스 신청해
현대, 기술 수출국가 확대나서

주요 카드사들이 인공지능(AI)을 통한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금까지 사람에 의존하던 대고객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접목해 서비스 질을 개선하고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이상거래 감지 등에 접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자체 개발한 AI 서비스로 수출까지 추진하는 등 신규 사업 발굴이 절실한 카드사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지 주목된다.
18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삼성전자 생성형 AI인 ‘가우스’를 고객 대상 업무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가우스 등 생성형 AI 모델의 적용 범위는 회사 내부 업무에만 한정돼 있으나 고객 상담과 맞춤 마케팅까지 업무 분야를 확장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카드의 실시간 데이터 기반 AI 마케팅 체계인 ‘AI 큐레이션’ 서비스 등에 가우스가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AI 큐레이션은 실시간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와 혜택을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앱), 챗봇 등을 통해 추천해준다. 현재 삼성카드는 AI 큐레이션 외에도 카드 모집인이 고객 질문에 더 빠르게 응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집인 전용 챗봇과 마케터를 위한 ‘AI 카피라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AI와 디지털, 빅데이터 분석 역량 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카드는 고객 응대 전 과정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새 시스템 ‘아이쏠라’를 적용했다. 신한카드가 내부 상담으로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I가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한카드는 AI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AI솔루션팀’을 ‘A&D솔루션팀’로 확대 개편했다. AI와 빅데이터 간 결합을 통해 전 사업 영역에서 AI 전환을 내건 ‘AI 5025’를 가속화하겠다는 복안이다.
KB국민카드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모두의 카드생활 메이트’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 대한 AI 업무 확대에 나섰다. 이 서비스는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고객 의도와 요구 사항까지 포착해 다양한 카드 상품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또 카드 상품 설명서, 약관 등 신뢰할 수 있는 문서를 참조하는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활용했다. KB국민카드는 AI 모델 통합 관리시스템(MIMS)을 구축했고 AI를 활용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도 완료했다.
현대카드는 최근 AI 소프트웨어 수출에 나섰다. 누적 투자 금액만 1조원에 달하는 AI 플랫폼 ‘유니버스’를 작년 일본의 대형 카드사 중 하나인 미쓰이스미토모카드(SMCC)에 판매하는 성과를 거뒀다. 유니버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객 초개인화 AI 플랫폼이다. 행동·성향·상태 등을 예측해 고객을 직접 맞춤 공략할 수 있다. 일례로 고객의 구매 주기와 구매 성향을 AI가 분석하고 할인 쿠폰 제공 등을 통해 카드 사용을 높이는 식이다. 현대카드 측은 업종에 관계없이 전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카드는 북미, 유럽, 아시아, 중동 등으로 수출을 추진할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카드사가 지급결제 사업에서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수익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카드 업계에 따르면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으로 출장을 가 AI 수출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부회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사우디·아부다비·두바이를 돌면서 사업 기초를 다졌다”며 “사업 진출을 염두에 둔 것은 처음”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래블로그 등 해외 결제에 특화된 하나카드는 해외여행 중에도 24시간 실시간 상담이 가능한 AI 기반 대화형 챗봇 서비스 ‘트래블 챗봇’을 통해 고객 질의에 대응하고 있다. 우리카드도 AI 음성봇을 활용해 고객 대기 시간을 단축했다. 롯데카드 역시 자사 앱에서 AI 기반 맞춤형 상품 추천 서비스 ‘디지로카 큐핏’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