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성 향상·편리한 생활·혁신적인 기술 발전···. 인공지능(AI) 발전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제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국회 시정연설에서 AI만 28차례 언급하고, 내년 AI 분야 예산으로 올해보다 3배가량 많은 10조1000억원을 편성한 것만 봐도 그렇다.
그러나 정작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한 논의는 뒷전이다. 최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에너지 소비량을 2029년까지 2억1100만toe으로 낮추겠다는 목표 제시했다. 한국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AI 발전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고려하면 현실성은 부족하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에 따르면 2029년에는 국내 데이터센터가 100개 이상으로 늘고 전력 수요도 현재 1.08기가와트(GW)에서 2.37GW로 두 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여기에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기업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까지 가동된다면 전력 소비는 더욱 급격히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가 공급할 GPU는 블랙웰 GB200으로 추정되는데, 1장당 최대 전력소비량은 2700와트(W)다. 26만장 기준으로는 702메가와트(MW)가 필요한데, 이는 대형 원자력발전소(1000MW)의 약 70%에 해당하는 규모다. 냉각, 기타 시스템까지 고려하면 실제 요구 전력은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전력 인프라 확보가 시급하지만 정부는 아직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년째 정지된 고리 원전 2호기의 재가동 결정 심의를 두 차례나 진행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새 원전 건설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원전만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를 제시하지도 못했다. AI 대전환을 국가적 목표로 내세우면서도 그를 뒷받침할 전력 수급 계획은 따라오지 못하는 현실이다. 그야말로 엇박자다.
대용량의 전력 수요를 어찌 감당할지 논의되지 않는다면 정부의 'AI 3강(G3)' 선언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크다. AI 강국이라는 목표로 나아가기 위해 전력 정책 재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헬로즈업] ‘K-로봇’ 근본적 과제 해법…“플랫폼 격차 해소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5/art_17626469767046_10825e.jpg?iqs=0.6272333994037218)



![GPU 100만장 시대 대비…SMR 없이는 AI 허브 불가능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DVRA11_1.jpg)
![[ET톡]재생에너지 대전환, 韓 성장동력](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062e5974ff454f348aeefee694ebf018_P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