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HGA 테마주를 찾아] SKY②'변방' 신세 벗어난다, 월가 낙관론 점증

2025-09-11

미우이 산불 복구 현장서 입증된 효율성

45% 급락 뒤 20%대 반등, "여력 아직"

견조한 실적과 재무상태, 순현금 포지션

이 기사는 9월 11일 오후 4시4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MAHGA 테마주를 찾아] SKY①'저가 주택' 재발견, 트럼프·의회 지원 사격>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인식 변화

모듈·제조형 주택 업계를 둘러싼 인식이 바뀌게 된 배경에는 미국의 주거난이 중산층으로까지 확산하고 근래 빈발하는 재해 현장에서 펼친 활약상이 있다. 전통 건축 대비 저렴하고 공사 기간이 크게 단축되는 실질적 장점이 현장에서 부각됐다.

2023년 하와이 마우이 산불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하와이 사업 경험이 전무했던 100여개 모듈형 주택업체들이 대거 진출해 450채의 임시 주택을 성공적으로 건설하면서 '전통 건축에 대안이 있다'는 인식 전환을 이끌어냈다.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방식은 노동력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한 요인이 됐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모듈·제조형 주택 업체들에 대해 검토 가치가 있는 투자처로 부상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아직 주택을 자산증식 수단으로 보는 인식이나 개인재산 비분류에 따른 제도적 장벽 등이 시장 확대를 제약하고 있지만 최근 정책 지원 강화와 인식 변화로 추가 입지 확대의 가능성이 열렸다는 분석이 제시된다.

JP모간의 빈세트 토예 커뮤니티개발 뱅킹 부문 책임자는 "많은 개발업자와 투자자가 잠재력을 인식하면서 투자 부문에서도 '틈새'에서 '주류'로 전환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24년 새로 완공된 다가구 건물 중 모듈러 또는 패널 방식으로 건설된 비중은 약 3%다.

◆"주가 급락 과도"

상장사 중 최대인 챔피언홈스는 정책 수혜와 시장 지배력 측면에서 제격으로 거론된다. 챔피언홈스의 주가(10일 종가 74.54달러)는 작년 12월 최고가에서 올해 6월 연중 저점까지 45%가량 떨어졌다가 7월 말부터 현재까지 최근 한 달여 동안 22% 급반등 중이다. 여전히 고점 대비 할인된 구간에 거래되고 있어 추가 반등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 따른다.

종전 챔피언홈스 주가 급락의 배경에는 실적에 대한 투자자들의 과도한 우려가 있었다. 기대치를 밑돈 실적 결과(올해 5월 발표된 2025회계연도 4분기분<올해 1~3월>)가 트럼프 행정부 초기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주식시장 전반의 조정과 맞물리면서 하락폭을 증폭시킨 배경이 됐다.

당시 기대치 미달의 실적이 나온 것은 동종업체이자 4위 업체인 리저널홈스(연간 약 5000채 판매)인수 관련 비용과 인수 계약에 따른 조건부 대가 등 일회성 항목의 이유가 컸다고 한다. 주택 평균판매가격(ASP)이나 수주 잔액 등 핵심 운영지표는 견조했기 때문에 과도한 우려는 당시 불필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튼튼한 펀더멘털

지난달 5일 발표된 2026회계연도 1분기(4~6월) 실적에서는 경영 상황의 견조함이 그대로 드러나 종전의 우려가 기우였음을 확인했다. 매출액은 7억130만달러로 12% 증가(전년동기 대비)해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6억422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고 주당순이익은 1.13달러로 43%나 증가했다.

또 ASP는 9만5000달러로 4% 상승한 가운데 EBITDA(영업이익에다가 감가상각비를 더한 값)은 9420만달러로 26% 증가했다. EBITDA 마진은 13.4%로 150bp나 개선됐다. 수주잔고가 3억250만달러로 12% 감소했지만 주문 소화력 향상의 결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재무상태도 건전하게 평가된다. 리저널홈스 인수 당시 관련 대금(4억5800만달러) 대부분을 현금으로 지급했지만 올해 6월 말 기준 4억8000만달러의 순현금 포지션(금융부채보다 현금·현금성자산이 크다는 뜻)을 기록 중이다. 단기 지급능력 지표인 유동비율은 2.6배로 통상 우수함의 기준인 2배를 크게 웃돈다.

◆낙관론 점증

월가에서는 챔피언홈스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늘고 있다. 목표가나 투자의견 상향의 움직임이 급속하게 전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전보다는 긍정적이라는 의견이 읽힌다. 추가 정책 지원이 현실화하면 긍정적 전환은 가속할 가능성이 있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담당 애널리스트 4명이 제시한 투자의견 분포를 보면 2명이 매수, 2명이 중립이다. 매도 의견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이 1년 내 실현을 상정하고 제시한 목표가의 평균값은 83달러로 현재가 74.54달러보다 11% 높다.

현재 챔피언홈스의 밸류에이션은 과거 평균 수준이다. 챔피언홈스의 밸류에이션을 EV/EBITDA(기업가치를 애널리스트들의 향후 12개월 예상 EBITDA 컨센서스로 나눈 값)로 보면 그 값이 13.7배로 과거 5년 평균 추정치 약 13.5배와 비슷하다.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