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소기름으로 튀긴 ‘1963 삼양라면’ 출시
1989년 공업용 우지 파동 겪은 후 팜유만 사용
최근 소비자 인식 개선·재출시 요청 등에 결정

삼양식품이 소기름(우지)을 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내놓는다.
삼양식품은 오는 11월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1989년 우지 파동으로 명맥이 끊긴 우지라면을 새롭게 선보인다.
21일 삼양식품에 따르면 이번에 내놓는 신제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삼양라면 1963’으로 이름을 정했다. 가장 큰 특징은 면을 우지로 튀겼다는데 있다. 우지로 튀긴 라면은 풍미가 좋고 고소한 맛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삼양라면 1963’은 최근 소비자 달라진 입맛에 맞춰 프리미엄으로 제품으로 거듭났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가운데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넣어 국물의 진한 맛을 한층 살렸다. 농심이 프리미엄 라면 신라면 블랙을 내놓은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격은 개당 1500원 안팎의 신라면 블랙과 비슷하게 책정될 될 것으로 보인다.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했다.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삼양식품의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졌다. 삼양식품은 우지 파동 후 라면에 우지를 쓰지 않고 팜유만 사용해왔다.
삼양식품이 우지라면을 야심차게 다시 선보이는 것은 우지 라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우지 파동 이슈의 피해자가 삼양식품이었고 1980년대 우지 라면의 맛을 잊지못한 소비자들의 재출시 요청도 끊이지 않았다. 우지가 건강에 좋지 않은 포화지방산이 높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약해졌다. 우지의 포화지방산 비율이 43% 정도인 데 비해 통상 라면에 쓰는 팜유는 50%에 달해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불닭’ 브랜드로 글로벌 라면 기업으로 성공한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새로운 메가히트 제품으로 키울 수 있을 지 주목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