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과 설날, 방송사 예능 국장들 섭외 전쟁
잡초같은 삶, 고향집 그리워하는 정서 반영
[서울=뉴스핌]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코스모스 피어 있는 정든 고향역 / 이뿐이 꽃분이 모두 나와 반겨 주겠지 / 달려라 고향 열차 설레는 가슴 안고 / 눈 감아도 떠오르는 나의 고향역…."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한 번쯤 불러 봤을 나훈아의 '고향역'이다. 요즘에야 예전 같지 않아서 고속도로로 차를 몰아 몇 시간이면 고향집 안마당까지 당도하는 시절이다. 이뿐이, 꽃분이는 애당초 다 도시로 떠나왔고, 늙은 부모님만이 고향집을 지키신다. 그래도 명절 무렵이면 이 노래만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노래도 없다.
과거 추석이나 설날이 다가오면 각 방송사 예능 국장들은 그를 섭외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일설에는 나훈아 섭외를 위해 집 앞에서 몇 시간을 기다린 국장도 있었다. 명절 때면 나훈아는 그 어떤 특집보다 풍성한 성찬(盛餐)이었다. 트로트는 내가 세계 최고라, 마이클 잭슨보다 낫다고 말하는 나훈아에게 고향과 어머니는 단골 소재였다. 나훈아의 성공 뒤에는 서울에 상경하여 성공하겠다는 승부근성도 있었다.
"아무도 찾지 않는 바람 부는 언덕에 / 이름 모를 잡초야 / 한 송이 꽃이라면 향기라도 있을 텐데 / 이것저것 아무것도 없는 잡초라네 / 발이라도 있으면은 님 찾아갈 텐데 / 손이라도 있으면은 님 부를 텐데 / 이것저것 아무것도 가진 게 없어 / 아무것도 가진 게 없네"
1982년 이 노래를 발표하기 전 나훈아는 서울 동부이촌동 서울 스튜디오에서 신곡 발표회를 가졌다고 한다. '잡초'와 '울긴 왜 울어' 중에서 어떤 곡을 타이틀로 할 것인지 참석자를 대상으로 투표를 했다. 그 결과 '울긴 왜 울어'가 타이틀곡이 됐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잡초'가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잡초 근성을 바탕으로 구수한 목소리로 어머니와 고향을 노래하면서 서울이 타향인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생각이 난다 / 홍시가 열리면 / 우리 엄마가 생각이 난다 / 자장가 대신 젖가슴을 내주던 / 우리 엄마가 생각이 난다."(2005년)
나훈아가 작사·작곡한 '홍시'는 어버이날이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사모곡이다. 부산 초량동 출신의 나훈아는 서라벌예고에 진학하면서 상경, 일찌감치 어머니와 떨어져서 형과 함께 지냈다. 우연히 오아시스 레코드사 사장의 눈에 띄어 고등학생 신분으로 가수가 됐다.
연습 과정도 없이 음반을 내고 벼락스타가 됐지만 나훈아(본명 최홍기)라는 예명을 쓰는 바람에 부모님들도 데뷔 사실을 모르셨다. 마도로스로 무역선을 타고 전 세계를 누볐던 아버지는 '딴따라'가 된 아들을 끝내 인정하지 않고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어린 아들의 손을 잡고 민요 공연을 자주 보러 다닐 정도로 음악을 좋아하셨다. 돌아가시기 전까지 밑반찬을 해 들고 아들 집을 찾던 다정다감한 어머니였다.
어머니를 소환하는 노래로 1994년 발표한 '어매'도 있다. 나훈아는 'J에게' 등을 편곡한 작곡가 정경천이 만든 이 노래를 듣자마자 그 자리에서 바로 타이틀곡으로 정했다.
"어매 어매 우리 어매 / 뭣할라고 날 낳았던가 / 낳을라거든 잘 낳거나 / 못 낳을라면 못 낳거나 / 살자 하니 고생이요 / 죽자 하니 청춘이라 / 요놈 신세 말이 아니네."
우연인지 몰라도 '홍시'나 '어매'는 후배 가수들이 자주 리메이크한다. 임영웅이나 BTS도 이 노래를 불러 듣는 이의 마음을 흔들었다. 부모님의 마음은 늘 자식 곁에서 떠나지 않는다. 이런 명절이면 더더욱 그렇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