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월 경주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코리아'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APEC 참석차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26만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한민국에 제공하겠다고 공표했다.
이 약속은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산업에 거대한 '연료'를 주입한 것과 같다. 이는 '세계 3대 AI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 자원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난 9월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수도권 일극 체제를 벗어나 전국을 '5극 3특'으로 재편하는 획기적인 균형발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두 가지 중대한 발표는 개별적인 사안이 아니라, 'AI 혁신'과 '지방소멸 위기'라는 대한민국의 두 가지 난제를 동시에 풀 수 있는 운명적인 조합이다.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이 막대한 AI 자원이 또다시 수도권에 집중되는 '디지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다.
26만장의 GPU가 서울과 판교 그리고 일부 데이터센터에만 갇힌다면 'AI 서울'은 이룰지언정 'AI 대한민국'은 요원하게 돼 지방의 디지털 소외는 더욱 심화되고, 균형발전은 구호에 그칠 것이다.
해답은 26만 GPU라는 'AI 엔진'과 예산을 '5극 3특'이라는 '균형발전 체제'에 장착하는 데 있다.
첫째, 5대 광역 거점(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충청 등)에 AI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배분해야 한다.
각 거점 지역의 특화 산업과 연계한 'AI 연구개발(R&D) 허브' 및 각 지역의 디지털 기업과 제조업의 AI전환을 위해 필요한 '지역산업 특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다.
부·울·경은 스마트 해양·물류, 대구·경북은 제조·로봇, 광주·전남은 에너지·모빌리티, 대전·충청 중부권은 소재와 바이오·국방 AI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방식이다.
둘째, 3대 특별자치구(제주, 세종, 전북 등)는 규제자유특구를 활용한 AI 실증 테스트베드로 기능해야 한다. 제주는 관광·그린에너지, 세종은 스마트시티·행정 AI의 선도 모델을 만들 수 있다.
GPU는 단순한 하드웨어가 아니다. 지방 대학이 지역 특화 AI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기업과 스타트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디지털 토양'이다.
AI 인프라가 지방에 뿌리내릴 때, 지방 산업은 발전하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을 방황하지 않아도 된다.
APEC 2025의 성과는 '5극 3특' 지도를 따라 전국의 모세혈관까지 흘러 들어가야 한다.
AI 인프라의 과감한 지방 분산과 권역별 핵심 지역에 예타 면제라는 파격적 예산 배정은 지역 특화 산업과의 융합을 촉진시켜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을 '전국이 강한 AI 강국'으로 만드는 지름길이다.
이랑혁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초거대AI추진협의회 부회장·구루미 대표 lucas.lee@gooroomee.com
![AI 빅3 도약 ‘인재·전력·규제’ 삼각파고 극복에 달렸다 [심층기획-엔비디아발 AI 혁명]](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20251111518572.jpg)
![GPU 100만장 시대 대비…SMR 없이는 AI 허브 불가능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DVRA11_1.jpg)

![GPU 날개 단 기업들 ‘AI 팩토리’ 탄력… 혁신 발판 [심층기획-엔비디아발 AI 혁명]](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20251110515551.jpg)

![[기자의 눈] 젠슨 황의 선물, 팹리스엔 눈물](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WMFITS_1.jpg)

![[ET톡] 韓 휴머노이드, 환호보다 준비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5/news-p.v1.20251105.856d2bbc05c3442d8f09e3816a5725a3_P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