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간정보 정책에 5838억 투입…'싱크홀 대비' 지하공간지도 고도화

2025-05-02

올해 5838억 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 1209개가 추진된다. 최근 대형 땅 꺼짐 사고(싱크홀)가 빈발하고 있는 것에 대응해 지하공간통합지도도 고도화된다.

국토교통부는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실현을 위한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공간정보 기반의 국토관리 체계를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은 5년 단위 기본계획의 실행력 및 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해 매년 수립된다.

이번 계획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년)의 4대 전략 아래 연차별 실적을 점검하고 디지털 트윈 구축, 플랫폼 고도화,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는 중앙정부가 104개 사업에 3819억 원, 지자체가 1105개 사업에 2019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4대 전략별 투자 규모 및 주요 추진 사업을 보면,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국토의 체계적인 확산 및 융복합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데이터(DB) 구축, 표준 마련 등 3993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두 번째 전략인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 분야에서는 고정밀 공간정보의 수집·관리·유통을 지원하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플랫폼 개선 및 유지 관리 등에 1095억 원이 투입된다.

산업 활성화 및 정책 기반 마련 분야에서는 산업 성장 기반 마련, 혁신기술 개발, 보안 규제를 비롯한 각종 제도 개선 등에서 750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이번 계획에는 잇따르는 싱크홀 사고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하공간 통합지도 개선 방안도 담겼다. 정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지반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범람 이력 등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반 침하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 지반 침하 위험 분석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 정확도 개선을 위해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 계획도 이번 계획의 핵심 중 하나다. 고도화 계획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암호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용량 3D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번 고도화를 통해 ‘Geo-AI’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단순한 지도 검색이 아니라 AI가 텍스트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지도 기반으로 표시해주는 방식의 공간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 Geo-AI는 공간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공간정보 분석 및 제공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의미한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며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