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가자지구의 인도주의 구호물자 진입을 제한적으로 허용했지만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식량이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고 유엔이 20일(현지시간)밝혔다.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11주간의 완전 봉쇄 이후 분유 등을 실은 트럭이 19일 가자지구로 진입했다”면서도 아직 어떤 구호물자도 배분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유엔본부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국경 봉쇄를 일부 풀면서 19일 분유 등을 실은 트럭 2대가 가자지구에 진입한 데 이어 20일에는 밀가루, 의약품 등 인도주의적 구호 필수품을 실은 트럭 수십 대가 가자지구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뒤자리크 대변인은 “오늘 (가자지구 내) 유엔 팀이 케렘샬롬 국경 검문소 지역에 접근해 구호물자를 유엔 창고로 가져가기 위해 이스라엘 당국의 승인을 몇시간 기다렸다”며 “불행히도 구호물자들을 유엔 창고로 가져갈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스라엘 당국은 유엔 구호트럭이 곧바로 가자지구 내 유엔 구호품 창고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국경 검문소 지역의 가자지구 구역에 구호품을 모두 하역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군은 하마스와의 휴전 1단계가 협상 성과 없이 끝나 공격을 재개한 3월 초부터 2개월이 넘도록 가자지구에 대한 구호물자 반입을 전면 봉쇄해왔다. 유엔의 기아 감시 시스템 통합식량안보단계(IPC)는 최근 가자지구에 기근이 임박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레오 14세 교황이 18일 “가자지구에서 살아남은 어린이와 가족, 노인들이 굶주림에 시달린다”고 말하고, 지난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많은 사람이 굶주리고 있다”고 언급하는 등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커지자 이스라엘은 11개월 만에 구호품 반입을 허용했다.
다만, 톰 플레처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사무차장은 앞서 이스라엘의 구호품 반입 허용량이 필요량에 대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며 ‘바다의 물 한 방울’에 불과하다고 비유하며 인도주의적 구호 확대를 촉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