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최첨단 반도체 공장 설비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대만 자유시보는 25일 소식통을 인용해 최첨단 2㎚(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장을 7곳에서 1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보도에 따르면 TSMC는 최근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등 정부 회의에서 AI 반도체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대만에 2나노 공장 3개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회사는 공장 부지로 현재 타이난시가 추진 중인 남부과학단지를 염두에 두고 있으며 투자 총액은 9000억 대만달러(약 42조 1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부지 면적이 40㏊(헥타르·1만 ㎡)에 달하며 이르면 내년에 착공할 것으로 전해졌다.
TSMC는 지난달 3분기 실적 발표 때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자본 지출(설비투자) 규모를 400억∼420억 달러(약 58조 9000억∼61조 8000억 원)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런자오 TSMC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자본 지출의 약 70%는 첨단 공정 기술에, 10∼20%는 특수 공정 기술에, 10%는 첨단 패키징 테스트, 포토마스크 및 기타 프로젝트 등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I 산업 경쟁으로 AI 반도체 수요가 늘자 TSMC가 공장 증설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웨이저자 TSMC 회장은 2나노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뜨겁다며 생산시설 확충을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을 방문할 당시 TSMC에 AI 반도체 생산라인을 추가로 요청하는 등 거대기술기업(빅테크)의 주문이 쇄도하면서 생산능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가 됐다.
막대한 대미 투자에 따른 대만 반도체 산업 공동화 우려를 잠재우기 위한 목적도 있다는 평가다. 최근 미국이 대만에 요구한 대미 투자액 4000억 달러에는 TSMC 투자분 1650억 달러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27조 쏟아붓는 일본…라피더스로 ‘반도체 재건’ 승부수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TTPWEZ_1.jpg)


![영호남 손잡고 반도체 벨트 만든다…수도권 공급망 비수도권 확장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TVTHGI_1.jpg)



![[AI의 종목 이야기] 레노버, AI 공급난 대비 메모리 대량 비축](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015841917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