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공공 부문 SaaS 수요 미리 알 수 있다

2025-09-17

내년부터 공공 부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수요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SaaS 기업은 높아진 예측 가능성으로 SaaS 제품에 대한 투자를 원활하게 결정하고, 공공은 SaaS 제품 수요를 기초자료로 활용해 SaaS 확산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2026년 공공 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에 SaaS 항목을 포함시킨다고 17일 밝혔다.

수요예보는 국내 소프트웨어(SW)·정보통신기술(ICT) 중소기업이 공공기관 수요를 미리 파악하고 사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통계 자료다.

이번 변화의 핵심은 '상용 SW' 구매 수요 항목에서 SaaS를 분리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진흥법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국가기관이 제출한 상용 SW 구매수요 정보를 연 2회(하반기 잠정, 다음해 상반기 확정) 공개해야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이용하는 구독형 SW인 SaaS는 구매 후 PC나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상용 SW 구매 수요 항목에 포함돼 있었다.

NIPA는 공공이 SaaS 제품 수요를 입력할 수 있는 조사 항목 마련 작업에 착수했다. 이르면 올해 말 발표되는 2026년도 수요예보(잠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요예보에 SaaS 항목이 처음 포함되는 만큼 제도 안착에 시간이 걸릴 전망이지만, 국내 공공 SaaS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는 계기로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SaaS 업계에선 수요예보를 통해 공공 SaaS 사업을 미리 준비할 수 있다.

한 SaaS 기업 대표는 “SaaS는 온프레미스와 개발 환경이 달라서 개발팀과 운영팀을 별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공공의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것 자체로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고봉희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 사무국장은 “기업들은 수요가 있으면 이에 적극 투자한다. 이번 정책 변화로 SaaS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공공 시장에서 SaaS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발판 삼아 글로벌 Saa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색했다.

다만, 공공 SaaS 활성화를 위해선 관련 법·제도 개선이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공 부문 SaaS 도입률을 높이기 위한 올해 정부 사업 예산이 삭감되는 등 공공 SaaS 상황이 좋지 않은 가운데 이번 변화는 긍정적”이라면서도 “국가망보안체계(N²SF) CSO 체계에서 업무용에 해당하는 'S' 영역에 대한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클라우드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가이드나 정책이 없기 때문에 CSAP 인증을 받은 SaaS 제품을 공공에서 사용하기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수요예보 변화를 계기로 공공 SaaS 활성화를 위한 연계 작업이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