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안 걸어도 괜찮네"…주 3회 '이만큼'만 걸어도 사망 위험 40% '뚝'

2025-10-22

걷기 운동의 핵심이 얼마나 자주 걷느냐가 아닌 얼마나 많이 걷느냐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노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조사에서 걷는 빈도보다 걷는 총량이 건강과 생존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브리검 여성병원 리쿠타 하마야 박사 연구팀은 심혈관 질환이나 암 진단 이력이 없는 여성 1만 3547명(평균 71.8세)을 대상으로 하루 걸음 수와 사망 위험의 상관관계를 11년 동안 추적했다.

참가자들은 2011~2015년 7일간 가속도계를 착용한 후 걸음 수를 측정했다. 이후 2024년까지 추적한 결과, 1765명(13%)이 사망, 781명(5%)이 심혈관 질환을 진단받았다.

분석 결과, 주 3회 이상 하루 4000보 이상 걷는 그룹은 하루도 4000보를 넘기지 않은 그룹보다 전체 사망 위험이 40% 낮았다. 하루 4000보 이상 걷는 날이 주 1~2회인 경우에도 사망 위험이 26% 감소했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4000보 이상 걷는 날이 1~2회 이상만 돼도 사망 위험이 27% 낮았다. 즉, 매일 걷지 않아도 일정량 이상만 꾸준히 걸으면 생존율이 뚜렷이 개선되는 셈이다.

연구팀은 또 "걸음 수가 많을수록 사망 위험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하루 평균 5000보 이상일 경우 사망 위험이 약 30%, 6000~7000보를 넘기면 32~40%까지 낮아졌다는 것이다.

하마야 박사는 "이번 연구는 걷기의 빈도보다 하루 전체 걸음 수가 노년층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주 1~2회라도 4000보 이상 걸으면 충분한 건강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