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 제조소, 시운전 완료"
맞춤형 및 OEM 수주 집중
비주력 자회사 매각 및 청산
이 기사는 3월 25일 오후 3시21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바이오 의약 및 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 '아미코젠'이 최근 창업주 회장이 해임돼 경영 변화기를 맞은 가운데 레진·배지 신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사업을 정상 궤도에 올리고 있다.
아미코젠은 생물의약품 시장에 본격 진입하며 동물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와 정제 공정에 필수적인 '레진'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동물의약품 시장에서 동물세포(CHO 세포)를 이용한 항체 기반 생물의약품 개발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어 아미코젠은 이에 발맞춰 관련 기술을 확장하며 올해 사업을 본격화한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25일 "'배지' 제조소에서 모든 공장 시운전을 마친 상태로, 장비와 공장 환경 관리 등 적격성 평가를 완료했다"며 "수주가 들어오면 즉시 생산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약 사항과 관련해서는 고객사와 비밀유지협약(NDA) 등으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기 어렵지만, 일부 고객사에는 납품이 돼 있다"며 "여러 고객사들에게 샘플링 요청을 받는 등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미코젠 송도 배지 공장은 총 7000평 규모로, 지난해 준공 승인을 받았다. 연간 배지 생산량은 분말 기준 106톤(t), 액상기준 416만 리터(L)로 약 3000억원 규모다.

바이오의약품에 사용되는 배지는 세포주의 특성에 맞춰 성분을 조정한 맞춤형 배지가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글로벌 제약사들은 대개 자국의 대형 제약사들에게 맞춤형 배지를 제공하는데 집중하고, 소규모 바이오벤처들의 요구는 잘 충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해 아미코젠은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맞춤형 배지 사업과 주문자위탁생산(OEM) 배지 수주에도 집중할 계획"이라며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이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국내에서 제조하는 배지는 운송 과정에서 성분의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아미코젠은 지난해 자회사 퓨리오젠의 여수 항체정제용 레진 공장의 준공 승인도 받았다. 여수 항체정제용 레진 공장은 총 연면적 1500평 규모로, 연간 레진 생산량은 1만 리터, 약 400억 규모다. 아미코젠의 송도 배지공장과 여수 레진공장은 각각 연간 매출 1000억원 규모의 생산 능력(CAPA·캐파)를 갖추고 있다.
아미코젠은 연내 배지·레진 제조 기술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제조 효율성을 높이는 등 품질 강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AI 기반 시스템은 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배지의 제조 방법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연내 AI 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이다"며 "AI 머신러닝을 통해 성분의 효율성을 더 높이고, 글로벌 제약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아미코젠은 비주력 자회사 매각과 청산을 통해 재무 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를 거의 완료한 상태다. 지난해부터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회사 매각을 진행하며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기존의 주력 핵심사업을 강화하고, 신사업인 배지와 레진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8월 아미코젠은 자회사 비피도를 환인제약에 매각했다. 지분 전량을 매각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으며 매각 규모는 보통주 245만4000주(지분율 30%)로 매각 대금은 약 150억원이다. 이어 스키메드와 에이피가 각각 약 55억원, 약 1억원에 지분을 전량 매각했으며, 메이플은 청산을 완료했다.
또한 아미코젠(중국)바이오팜유한회사(아미코젠차이나)은 매각 대상 지분율 48.78%로, 약 540억원에 매각했다. 아미코젠은 지분 매각 이후에도 14.36%의 지분을 보유해 기존 종속회사에서 현재는 관계회사로 분류됐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비주력 사업 부문 자회사 매각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배지·레진·효소·헬스케어 총 4개 사업부 중심으로 집중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아미코젠은 지난달 26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신용철 회장의 해임을 결정했다. 신 회장은 비피도 투자 실패 및 부산 금곡벤처밸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 주식담보 대출 부담 등으로 경영 능력에 주주들이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최근 50억 원 규모의 사기 혐의로 경영 불신이 겹치면서 임시주총 결정을 통해 경영 일선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나게 됐다.
이날 김준호 아미코젠 부사장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요구하지 않고, 기업의 지속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새로운 투자자를 찾겠다"며 "주주연대가 조합을 만들어 일정 지분을 확보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해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대주주 공백 문제'에 대해서 김 부사장은 "주주연대가 일정 기간 최대주주 역할을 하며, 이후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를 유치할 것"이라며 "경영권이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