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새로운 내각 기구인 ‘재해방지성’을 신설했다. 북한 사회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는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조치로 보인다.
4일 통일부는 “3일 조선중앙TV 보도를 통해 ‘재해방지성’이라는 이름의 신규 내각기구가 식별됐다”고 밝혔다. 보도 화면을 보면 재해방지성 상황실로 보이는 공간의 대형 스크린에는 ‘대응’이라는 문구가, 사무실 벽면에는 “국가적인 재해방지와 위기관리체계를 더욱 철저히 세우자!”라는 구호가 붙어 있다. 조선중앙TV는 "태풍과 큰물을 비롯한 재해성 이상기후가 앞으로 우리나라(북한)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인민경제 모든 부문과 단위에서 위기대응능력을 더욱 높여야 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업무 공간은 지난해 7월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된 국가비상재해위원회 사무공간과 같은 장소다. 지난해 7월 국가비상재해위원회 과장으로 조선중앙TV 인터뷰에 등장한 허철훈이 3일 방송에서는 재해방지성 소속으로 표기돼 재차 등장했다. 통일부는 “효과적인 재해 대응을 위해 기존 내각기관인 ‘국가비상재해위원회’가 ‘재해방지성’으로 개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위원회 형태로는 책임과 권한이 분산된다고 판단해 성급 기관으로 변경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7월 28일 평안북도 수해지역 현지 지도에 나서 "인민의 생명안전을 담보하고 철저히 보장해야 할 사회안전기관의 무책임성, 비전투적인 자세를 더 이상 봐줄 수 없다"고 질책한 바 있다. 당시 폭우로 압록강 수위가 높아지면서 평안북도 신의주와 의주의 주택가가 지붕까지 잠겼고, 주민 5000여명이 고립될 위기에 처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평안북도와 자강도, 양강도 등의 압록강 인근 지역을 특급재해비상지역으로 선포하고 내각과 위원회, 성, 중앙기관, 안전 및 무력기관에 피해방지와 복구사업 총동원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가 조직돼 수해 지역 복구 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러시아도 북한에 수해 지원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 포춘 500대 기업도 뚫는 위장취업…통로는 中 유령회사[북한은 지금]
- 신분 위장한 채 해외 합숙…중국 드론 기술 훔치려던 A의 정체[북한은 지금]
- "북한 철광석 실은 배, 한국 바다 지난다" 첩보에 덜미[북한은 지금]
- 북한, ‘60년의 형제‘ 한국에 빼앗겼다[북한은 지금]
자연재해는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한 북한의 경제·보건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올해의 경우에도 장마가 계속되면서 밀·보리 등 곡물 농사에 비상이 걸린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