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연이은 보안사고, 정교한 조사부터

2025-09-02

온나라가 숭숭 뚫린듯 연이는 보안 사고 소식에 국민 불안감이 높다. 정부가 명확한 기준을 적용해 점검하고,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뚫렸고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 범위를 특정해 국민 앞에 소상히 밝혀 협조를 구하는 일이 중요해졌다.

다만, 디지털화된 세상에 기술과 데이터로 입증한 진실이 대응의 첫걸음인데 그에 앞서 있지도 않은 사실을 부풀리거나, 이슈화 목적에 의거해 사고 범위를 키우는 것 또한 사태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것을 알아야할 것이다.

롯데카드는 지난달 26일 악성코드에 감염된 서버를 확인했고, 이어 닷새 뒤엔 결제서버에서 자료유출 시도 흔적을 발견하고 당국에 신고했다. 금융감독원은 2일 곧바로 현장 감독에 나섰고, 지금까지 파악한 것으로는 2차 피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하루에도 수백만명, 수천만건 거래가 일어나는 카드사 보안사고이고, 성격상 해커들의 공격이 가장 빈번한 업종이란 점에서 최대한 빨리 원인을 찾고 차단 및 방비 대책을 적용해 가동하는 것이 시급하다. 2차 피해에 대해선 최대한 카드 고객, 이용자 인지도를 높여 기존 카드 폐기 같은 생활적 지침을 조속히 내리는 것이 요구된다.

비슷한 시기 터진 KT·LG유플러스 해킹 의혹과 관련해선 해당 두 사업자와 첫 문제 제기를 한 정치권과 시각차·입장차가 너무 극명한 상황이다.

현재 상황을 다시 풀이하면,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해외 해킹 전문매체 '프랙(Phrack)'의 보도를 근거로 KT·LG유플러스가 해킹을 당했다는 것이고, KT·LG유플러스는 보도에 등장한 파일이 자사들 것은 맞지만 해킹은 없었다는 판이한 주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즉각적으로 KT·LG유플러스에 들어가 정밀포렌식을 벌이고 있으니, 조만간 객관적 결과가 나올 것이다. 양 민간사업자가 이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는데도, 불안감 공세를 펴는 것은 사태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

정부 책임하에 롯데카드와 이동통신사 2곳의 조사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라 철저한 개선조치가 이행돼야 한다. 그리고 국민 생활과 아주 밀접한 카드·휴대폰 관련, 보안 생활 지침 등을 더 널리 알기쉽게 전파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금 당장의 불안감에 편승하기 보다는 냉정하게 사태 원인을 찾고, 재발 방지책을 강구하는 것이 우선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