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부 주도 인공지능(AI) 자격증 제도 마련에 착수한다.
민간 AI 자격증이 500개를 훌쩍 웃도는 가운데 정부 주도 자격시험을 운영, 취업과 승진을 준비하는 학생과 직장인 등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민간에서 AI 사용과 활용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22일 정부·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2026년 하반기 추진과제 중 하나로 'AI 자격인증제도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국가공인 AI 전문 자격시험 필요성과 민간 자격증 난립 등 현실을 고려한 해법 마련 차원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 정보서비스 기준 국내 AI 관련 민간 자격증은 약 550개다. 2019년만 해도 10개에 불과했던 AI 분야 민간 자격증은 생성형 AI '챗GPT'가 공개된 2022년 처음 연간 100개 이상 증가했고 올해는 상반기 등록만 100건을 넘어서며 난립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해 기준 연간 1만명 이상 응시 시험은 1개, 1000명 이상은 2개뿐으로 민간 자격제도는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국회·학계 등에서 정리 필요성을 제기하지만 현행 제도상 일정 기준만 충족하면 민간 자격증으로 등록할 수 있어 정부가 자격시험 정리 등에 직접 개입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에 정부 주도로 새로운 자격인증시험을 만들어 자격증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표적인 공공 주도 소프트웨어(SW) 역량 검증 평가 'TOPCIT(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T)'을 벤치마크할 계획이다. TOPCIT은 SW 전공학생·재직자 대상 SW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평가하는 제도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한다.
정부 차원 AI계의 'TOPCIT'을 신설해 공공에서 공인하는 자격증을 신설, 전공자와 직장인의 AI 역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공인된 자격을 부여하겠다는 취지다.
특히 과거 워드프로세서·컴퓨터활용능력 등 컴퓨터 자격시험이 국내 컴퓨터 보급 확대와 활용 활성화를 이끌었던 것처럼, 공공 주도 AI 자격증으로 AI 리터러시 확대와 서비스 사용 활성화를 이끄는 방향으로 제도 운용을 검토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민이 AI를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 중 하나로 AI 자격증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공 주도 국가공인 자격증 제도가 마련되면 AI에 대한 국민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업 채용절차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TOPCIT도 제도가 정착되기까지 시행착오를 겪는 등 시간이 걸렸다”며 “자격시험 도입 초기에는 부작용이나 이런저런 공방이 일 수도 있어서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