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련을 세분화해서 하려고 한다”
안양 정관장은 지난 11일 SNS를 통해 D리그 코칭스태프를 발표했다. 전력분석이었던 이대혁을 D리그 코치로 삼았고, 조성원 전 LG 감독과 옥범준 스킬 트레이너를 D리그 인스트럭터로 임명했다.
보통 팀의 막내 코치가 맡는다. D리그 전담 코치가 있는 구단은 드물다. 하지만 정관장은 1명의 코치와 2명의 인스트럭터를 선임했다.
유도훈 정관장 감독은 본지와 전화 통화에서 “이대혁 코치는 전력분석만 오래 했다. 선수들을 지도하다 보면, 본인이 더 공부를 많이 할 수 있다. 또, 1군의 전술과 운영 방식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D리그 선수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또, 1군의 전력분석 업무를 병행한다”라며 이대혁 코치부터 언급했다.
이어, “이대혁 코치가 1군에 필요한 것들을 전반적으로 지도한다면, 조성원 인스트럭터와 옥범준 인스트럭터는 전문성을 갖고 있다. D리그에 참가할 선수들이 슈팅과 스킬, 스텝과 볼 핸들링 등을 같이 배울 수 있도록, 두 인스트럭터가 지도할 거다”라며 ‘인스트럭터 영입’ 이유를 덧붙였다.
계속해 “1군 선수들도 슈팅과 기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선수들도 자기 기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우리가 인스트럭터와 훈련 시간을 잘 안배해야 한다”라며 정규리그 출전 선수의 연관성을 설명했다.
다만, 정규리그 선수들과 D리그 선수들의 훈련 시간이 나뉜다. 또, 인스트럭터들은 구단에 상주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정관장은 ‘훈련 시간’을 정확하게 안배해야 한다.
그래서 유도훈 감독도 “옥범준 인스트럭터는 1주일에 3번 선수들을 지도하고, 조성원 인스트럭터는 1주일에 2번 선수들을 함께 한다. 하지만 D리그 훈련 시간이 정규 훈련 시간 외에 이뤄지고, 이대혁 코치와 두 인스트럭터의 훈련 시간 또한 다르다. 그래서 우리가 훈련 시간을 더 디테일하게 계획해야 한다”라며 ‘시간 안배’를 강조했다.
그리고 “이대혁 코치가 팀에 필요한 것들을 잘 연습시켜야 하고, 인스트럭터들도 선수들을 잘 봐줘야 한다. 그러나 이들의 지도가 세분화된다고 해서, 선수들의 기량이 확 향상되지 않는다. 또, 발전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선수들이 매일 연습해야 하는 이유다”라며 ‘연습’이라는 단어를 꺼냈다.
마지막으로 “물론,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세분화된 D리그 코칭스태프들을 좋은 방향으로 활용하고 싶다. 또, 이렇게 세분화된 게, 좋은 것 같다”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정관장이 유도훈 감독을 선임할 때, ‘발전’이 키워드였다. 유도훈 감독도 ‘발전’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다지려고 했다. D리그 코칭스태프를 세분화한 것도 그런 이유다.
사진 제공 = KBL
[저작권자ⓒ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