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생 단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 직후 “정부는 지금까지 과오를 인정하고 의대생 목소리를 반영해 의료 개악을 책임 있게 해결해달라”고 밝혔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4일 성명을 내 “자신과 다르면 악이라 단정 짓고 대화 없이 탄압하려는 태도로 일관해오던 윤석열 정부였다. 간언하는 사람들은 모두 경질하며 고립무원을 자초했던 한 사람은 오늘부로 사라진다”며 “그의 아집이 낳은 만행들은 여전히 세상에 남아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의대협은 또 “윤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결정문에도 적시됐듯 헌법적 가치인 자유권을 유린하고 특정 직역군을 ‘처단’하겠다는 대통령이었다”며 “이제는 힘을 합쳐 악업(좋지 못한 행위)을 지워나갈 시기”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발표한 포고령에 ‘미복귀 전공의를 처단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의대협은 “(정부는) 3058명을 위한 강의실에 7500여명을 밀어 넣고자 하고, 교육 시설을 신축하겠다는 말과 달리 삽도 뜨지 않고 있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의대협은 성명에서 ‘의료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 패키지 철폐’, ‘시간 지연으로 초래된 24·25학번 적체로 인한 교육 파행 수습’. ‘의료에 비가역적 충격을 주는 일이 없도록 재발 방지를 위한 거버넌스 수립’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