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습권 보호 만전”…의대학장 “2026년은 3058명”

2025-02-24

새학기 시작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가 의대생 학업 복귀를 위해 마지막까지 머리를 맞대고 있다. 의대 학장들 측은 2000명 증원 전으로 정원을 되돌려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으며 교육부는 의대교육 내실화 방안을 준비 중이다.

교육부는 24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의과대학 학장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2025학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7일 의과대학 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정부에 보낸 협조 요청 공문을 바탕으로 학생 복귀 방안과 학습권 보호, 2025학년도 교육 준비 상황을 논의했다.

KAMC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은 2000명 증원 전인 3058명 수준으로 설정하고 2027학년 이후 총정원은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의학교육의 질을 유지·향상하기 위해 의학교육 관련 제도, 행정, 재정에 대한 교육부의 전폭적인 지원책을 구체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

교육부는 학생 복귀와 의과대학 정상화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최선을 다할 예정이며, 학장들도 학생 상담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학생들이 복귀하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교육부가 운영 중인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로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민원과 문의가 들어오고 있으므로 학생들이 마음 편히 복귀할 수 있도록 학습권 보호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새학기 시작이 일주일도 남지 않았지만 의대생 복귀의 물꼬를 틀 2026학년도 정원 논의는 답보 상태다. 정원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각 대학 총장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 2025학년도에도 대학 총장들의 건의로 학교별로 모집인원을 조정한 바 있다. 다만 이 경우 대학본부와 의대 측의 입장 차이로 인한 학내 갈등이 우려된다.

휴학 중인 학생들의 학사관리도 문제다. 앞서 의대 총장들도 이 부총리에게 “3개 학년을 동시에 교육할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할 때 더 이상 휴학 승인은 어렵다”며 “원칙적으로 학칙을 준수해 정상적인 수업을 진행하겠다”고 입장을 전달했다.

교육부는 총장 및 학장들로부터 받은 의견을 바탕으로 24학번과 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할 의과대학 교육 방안을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달 중 발표를 목표로 '5.5학년제' 등 KAMC 측이 제시 모델 등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 학장님들이 주신 말씀을 바탕으로 올해는 학생들이 복귀하고 의과대학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정부도 대학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