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 폭염이 시작되면서 에어컨 사용이 늘자 전기요금을 걱정하는 가정도 많아지고 있다. 여름철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에어컨을 껐다 켰다 하는 것이 좋은지, 제습 기능을 켜두는 것이 나은지 궁금해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전기요금을 아끼려면 먼저 우리 집 에어컨의 종류부터 확인해야 한다. 에어컨은 실외기 작동 방식에 따라 정속형(구형)과 인버터형(신형)으로 나뉜다. 본인의 에어컨이 어떤 제품인지 간단히 구분하려면 출시 연도를 확인하면 된다. 2011년 이전에 출시된 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이고 최근 출시된 제품은 대부분 인버터형이다. 보다 정확히 확인하려면 실외기를 직접 살펴보는 것이 확실하다. 인버터형 에어컨은 실외기에 '인버터' 또는 'INVERTER'라고 표시돼 있다.
정속형 에어컨은 껐다 켜는 게 더 유리하다.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꺼지고 실내 온도가 다시 올라가면 실외기가 최대 출력으로 작동하면서 전력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반대로 인버터형 에어컨은 계속 켜두는 게 더 효율적이다. 인버터형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약한 출력으로 작동하며 온도를 유지한다. 처음엔 희망 온도를 낮게 설정해 강풍으로 빠르게 냉방한 뒤, 적정 온도인 26도 안팎으로 온도를 올려두는 게 요금 절약에 도움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제습 모드가 전기 절약에 좋다고 생각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습도가 높은 날엔 제습 모드를 오래 작동시켜야 습기를 없앨 수 있어 오히려 냉방 모드보다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다. 습도가 낮은 날엔 제습 모드가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스탠드형 에어컨을 사용할 땐 바람 방향을 위로 설정하면 냉방 효과가 더 좋아진다. 찬 공기는 아래로,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어 찬 바람을 위로 보내야 공기가 잘 순환한다.
한편 한국전력은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직전 2년 같은 달 평균 사용량보다 전기를 3% 이상 줄이면, 절감한 전력량에 따라 kWh당 30~100원씩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캐시백은 현금 지급이 아니라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