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영향으로 폭락 마감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679.39포인트(-3.98%) 내린 4만 545.93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274.45포인트(-4.84%) 내린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050.44포인트(-5.97%) 떨어진 1만 7899.01에 각각 마감했다.
이 같은 낙폭은 코비드19 펜데믹(대유행) 영향을 받았던 2020년 6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특히 나스닥은 약 6% 곤두박질치며 전체 하락장을 이끌었다. 시가총액 1위인 전자기기 제조업체 애플은 9.25% 급락해 시총 3000억 달러(약 430조원)가 하루 만에 증발했다. 이밖에도 대형 기술주인 테슬라는 5.47% 급락했고 엔비디아는 7.81% 내렸다. S&P 또한 5% 가까이 하락하며 다시 조정구간에 진입했다. 이 지수는 하루 새 2조 달러가량 증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AP통신은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시장에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이 극대화됐다”며 “전 세계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발표를 보았고, 이날 미국 경제의 척추라 할 수 있는 S&P 지표는 급락했다. 이는 관세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에게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관세는 수술이다. 시장은 곧 호황을 누리고 주식은 오를 것이다. 결국 국가는 부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