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IP)TV와 코스피 상승 요인과 같은 시사 관련 대화를 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스마트폰처럼 IPTV에도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가 탑재되면서다.
KT(030200)는 자사 IPTV ‘지니TV’에 AI 비서를 탑재해 서비스를 고도화했다고 8일 밝혔다. 지니TV AI 비서는 대형언어모델(LLM)을 탑재해 날씨, 뉴스 등 최신 생활 정보는 물론 시사상식, 교양, 과학, 인물 등 복잡한 주제에 대한 대화도 가능하다. 가령 이용자가 뉴스를 보다가 ‘관세 협상은 왜 발생하는지’, ‘코스피 상승 요인은 무엇인지’ 물어보면 AI 비서가 적절한 답변을 해주는 식이다.
지니TV AI 비서는 또 이용자가 찾으려는 콘텐츠의 줄거리나 간단한 설명만으로도 검색해줄 수 있다. 가령 ‘곽튜브가 네팔 가서 버팔로 먹던 여행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ENA 예능 ‘지구마불 세계여행3’를 찾아주는 식이다. KT 자체 콘텐츠뿐 아니라 유튜브, 디즈니플러스, 티빙, 쿠팡플레이 등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콘텐츠도 검색해준다.
KT는 지니TV AI 비서가 95% 이상 음성 인식률을 자랑하고 여러 LLM 중 이용자 질문 의도에 맞는 모델을 골라 최적의 답변을 해주는 ‘의도 분류 엔진’을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한 LLM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델을 지원할 방침이다.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인식하는 멀티모달(다중모델) 기술도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지니TV AI 비서는 ‘지니 TV 셋톱박스 4’를 시작으로 내년까지 AI 스피커 기반 셋톱박스 500만 대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더 똑똑해진 지니TV를 통해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집에서 손쉽게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넓혔다”며 “KT는 고객이 일상에서 AI를 더욱 쉽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