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건설업을 ‘일하고 싶은 산업’, 재해 없는 안전한 일터로 만들어야 한다”
27일 서울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 CG아트홀에서 열린 ‘2025 건설의 날’ 기념식에서 한승구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은 건설산업의 성과와 위상을 짚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200만 건설인, GDP 15%, 해외건설 수출 1조 달러 달성 등 국가경제를 이끌어온 산업이지만, 최근 잦은 중대재해로 청년 인재들의 발길이 끊기고 있다”며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한 신뢰 회복을 호소했다.
그는 “건설산업은 취업자 200만 명, GDP 내 건설투자 비중 15%, 해외수출 누적 1조 달러 달성 등 대한민국 성장의 중추였지만, 반복된 중대재해로 산업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다”며 “건설업을 다시 ‘일하고 싶은 산업’으로 만들기 위해 반드시 안전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축사에서 “저성장 경기 침체를 넘어 미래로 도약하겠다”며 주택공급 확대,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해외 진출 지원을 약속했다. 이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산업 체질개선과 안전문화 정착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진 현도종합건설 대표가 200만 건설인을 대표해 결의문을 낭독했다. 결의문은 ▲안전 법령·기준 준수 ▲안전문화 확산 ▲교육 참여 및 안전시설 상시화 ▲위험요인 선제 제거 ▲충분한 공사기간·공사비 보장 등 다섯 가지 실천 과제를 담았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건설산업 유공자 111명이 포상을 받았다. 금탑산업훈장은 김상수 한림건설 회장이, 은탑산업훈장은 이성수 신우공영 대표와 정달홍 성보엔지니어링 회장이, 동탑산업훈장은 이용호 신성건설 대표·장세현 동극건업 대표·이선구 대흥건설 대표가 각각 수상했다. 산업포장과 대통령·국무총리·국토부 장관 표창도 이어졌다.
이번 기념식은 단순한 축하 자리가 아니었다. 중대재해 발생, 원자재 가격 급등, 인건비 상승, 공사비 산정 미흡 등 구조적 문제가 다시 짚어졌다. 이로 인한 수익성 악화, 품질 저하, 대금·임금 체불 등 악순환 가능성도 제기됐다.
결국 건설업계가 내린 결론은 분명하다. 안전은 비용이 아닌 존립 조건, 스마트 전환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는 점이다. 여기에 적정 공사비와 공기라는 시장질서가 뒷받침돼야만 건설업은 다시 “일하고 싶은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 결의가 선언에 그치지 않도록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과 업계의 실천이 동시에 요구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