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北, '정찰정보총국' 첫 등장..."주한미군·한반도 감시 임무 강화 시도"

2025-09-14

군 실세 박정천 "한미훈련 동향 보고 받아"

정찰총국 16년 만에 기능 확대·개편한 듯

총국장 리창호 우크라전 귀환해 영웅대접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15일부터 시작되는 북핵 대응 한미 합동 군사연습을 비난하면서 '정찰정보총국'을 첫 언급해 구체적인 임무나 조직을 띄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관영 선전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4일 보도에서 군부 최고위급 인물인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위원장 김정은) 부위원장의 비난 담화를 소개했다.

그런데 담화 모두에서 박정천은 "나는 정찰정보총국으로부터 가까운 시일 내에 조선반도와 주변지역에서 미국과 그 추종 동맹세력들의 참가 밑에 핵 작전연습 '아이언 메이스'(iron mace·철퇴)와 다영역 합동 군사연습 '프리덤 엣지'가 동시에 진행된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언급했다.

이는 과거 한국 언론이나 외신보도를 인용해 알리던 것과 달리 자체 군 정보조직을 통해 한미의 군사동향을 보고받고 있음을 의도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북정보 관계자는 "북한 매체에서 '정찰정보총국'이 등장한 건 처음"이라면서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새로 출범한 군 정찰 및 정보 관련 기구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2009년 인민무력부 정찰국과 노동당 작전부, 당 35호실(대외정보조사부) 등 군 및 대남‧해외 공작 조직을 통합해 군 총참모부 산하 정찰총국으로 만들었다.

대북 특수전 전문가인 이시연 전 국군정보사령부 분석관은 "타격 위주의 임무를 수행하는 정찰총국에 주한미군과 한반도 정세 관련 정보수집과 분석 임무를 부여해 확대 개편한 것으로 보인다"며 "우크라이나전에 대규모 전투병을 파견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보수집 기술과 장비를 지원받은 데 따른 움직임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정은은 지난 3월 말 러시아가 지원한 A-50(베리예프)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 형태의 항공기를 공개하면서 "이런 장비들은 우리 군대의 각종 정보수집 작전능력을 제고해 주고 적의 각이한 전투수단을 무력화시키는 데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북한은 정찰총국장 리창호를 우크라이나 참전부대 주요 지휘관 중 하나로 파견했으며 지난 8월 평양으로 귀환해 국무위원장 김정은으로부터 환대를 받고 훈장도 수여받았다.

yjlee@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