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기후테크(온실가스 감축 등에 기여하는 혁신기술) 기업 육성을 위한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에 나선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자발적 탄소시장 거래소’를 신설해 다양한 탄소크레딧이 거래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며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거래소, 대한상공회의소 등 관계기관과 그리너리, 나무 이엔알(EnR), 엘디카본, 윈클, 카본에너지 등 민간기업이 참석했다.
탄소크레딧 거래소는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탄소 배출을 감축한 실적(탄소크레딧)을 검·인증기관을 거쳐 등록하고 이를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및거래법’에 따라 배출 총량을 의무적으로 관리 후 잉여분을 거래하는 배출권 시장과는 차이가 있다.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국제 탄소크레딧 시장 규모가 2024년 14억 달러에서 2030년 35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넷제로(실질적 순배출량 ‘0’) 목표 달성을 위한 탄소 배출상쇄 수단으로 탄소크레딧 매입 후 소각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미국과 영국, 싱가포르는 자발적 탄소시장을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우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자발적 탄소시장이 미성숙 단계에 머물러 있다. 대한상의가 2023년 3월 민간 최초의 탄소감축인증센터를 설립한 이래 30건의 인증서를 발급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정부는 수요 부족이란 한계에 직면했던 자발적 크레딧시장이 활성화할 경우 기후테크 기업에 수입원을 제공해 유망 기술의 보급을 빠르게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는 추가적인 의견수렴 절차와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한국형 탄소크레딧 활성화 대책을 연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