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하 장학생’ 문형배

2025-04-08

문형배 헌법재판소 소장 권한대행이 지난 4일 대통령 윤석열 파면을 선고한 뒤로, 한 사람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 김장하 선생(81)이다.

김 선생은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중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뒤 한약방 점원으로 일했다. 낮에는 약재를 썰고 밤에는 공부를 했다. 19세에 한약사 시험에 합격했다. 1963년부터 한약방을 운영하며 값싸고 효험 있는 처방으로 큰돈을 벌었다. 1984년 가산을 털어 진주 명신고를 설립해 7년 뒤 국가에 기증했다. 형편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줬는데, 다 합쳐 1000명이 넘는다. 지역 환경운동, 여성 인권, 문화예술 후원도 아끼지 않은 진주 시민사회 운동의 버팀목이었다. 김 선생은 2021년 남성문화재단을 해산하면서 남은 재산 34억원을 경상국립대에 기탁했다. 2022년 한약방 문을 닫았다.

김 선생은 “똥은 쌓아두면 구린내가 나지만 흩뿌리면 거름이 돼 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는다”고 했다. ‘줬으면 그만’이라며 자신의 이름을 내세우지도, 자리를 탐하지도 않았다. “우리 사회는 평범한 사람들이 지탱하는 것”이라는 김 선생은 나눔의 씨앗이 각자의 일상에서 열매 맺길 바랐다.

문 대행은 고교·대학 시절 김 선생의 장학금을 받은 ‘김장하 장학생’이다. 1986년 사시 합격 후 김 선생에게 감사 인사를 하러 갔더니 “나에게 고마워할 필요는 없다. 갚으려거든 사회에 갚으라”고 했다고 한다. 문 대행은 2019년 4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그분 말씀 실천을 유일한 잣대로 살아왔다. 법관의 길을 걸으며 헌법의 숭고한 의지가 우리 사회에서 올바로 관철되는 데 전력을 다했다”며 “재판관이 되어도 초심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헌재의 윤석열 파면은 헌정질서 파괴자에 대한 응당한 처분이자, 국민 상식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문 대행은 “선생은 자유에 기초해 부를 쌓고, 평등을 추구해 불합리한 차별을 없애며, 박애로 공동체를 튼튼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곳이 대한민국이라는 것을 몸소 깨우쳐 주셨다”고 했다. ‘김장하 정신’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 김 선생은 진주 시민만의 ‘어른’이 아니다. 험난한 시대에 김 선생의 삶은 우리가 보고자 했던 어른의 모습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