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자체 개발했다고 주장한 피처폰 ‘아리랑 182’의 디자인과 성능이 공개됐다. 강력한 방수·방진 성능을 갖췄으나 북한 주민들의 외부 접촉을 막기 위해서인듯 블루투스나 인터넷 연결은 불가했다.
북한 정보기술(IT)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해외 웹사이트 ‘노스 코리안 인터넷(North Korean Internet)’은 최근 북한 휴대전화 아리랑 182를 직접 입수해 디자인과 성능을 비교적 상세히 공개했다. 미국 스팀슨센터가 지난해 발간한 '2024 북한 스마트폰 보고서'에 따르면 아리랑 182는 2019년 정보기술(IT) 전시회에서 처음 공개된 피처폰이다. 이 휴대전화는 2023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경공업 발전 전시회의 '아리랑 부스'에서도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리랑 182의 포장박스에 적힌 제품 제원은 2.4인치 화면에 해상도 320x240, 메모리는 128메가바이트다. 우리나라의 1990년대 말 피처폰을 연상시키는 성능이다. 다만 'IP68 등급'으로 방수·방진 성능이 뛰어나다. IP68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정한 방진·방수 등급으로, 먼지로부터 완벽하게 보호(6등급)되고 1.5m 이상의 깊이에서 30분 이상 침수에도 견딜 수 있는(8등급) 최고 수준의 방수·방진 성능을 의미한다. 제품 박스에도 ‘1.5m 깊이의 물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세멘트무지에 파묻혀도 정상 동작한다’는 설명이 적혀 있다.
관련기사
- 사망한 파병 군인, 600명서 2000명으로[북한은 지금]
- 외화 벌러 러시아 간다…中 월급의 4배[북한은 지금]
- "을지 프리덤 쉴드 끝끝내 강행한 미국·한국것들"[북한은 지금]
- 김정은, ‘러시아 보란듯‘ 파병군 유족에 허리 숙여[북한은 지금]

휴대전화 뒷면에는 두 개의 나사로 고정된 배터리와 심(SIM) 카드 삽입구가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에 SIM 카드가 삽입되어 있어도 실제론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었다. 북한 내부의 통신망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휴대전화로 사진을 전송하는 블루투스 기능도 있었다. 그러나 블루투스로 사진을 받을 수 있었을뿐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오류가 발생했다. 노스 코리안 인터넷은 “북한 내에서 외부 정보가 확산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된 결함'으로 추정된다”며 “이같은 오류는 상당수의 북한 휴대전화에서 관찰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