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지원을 도맡은 기관들이 이달 나란히 중국 선전 출장길에 오른다. 이들은 양국 기업 간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상대국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 최근 한중 정상이 만나는 등 양국의 긴장 관계가 해빙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차원에서 경제협력 물꼬를 트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비즈협회는 이노비즈 인증 기업 12곳과 함께 이달 12일 중국 선전에 방문할 예정이다. 이노비즈협회는 이번 방중 일정에 공유오피스기업 ‘36Kr 스페이스’의 선전 지점에 이노비즈협회 현판을 다는 행사를 진행한다. 이 공유오피스는 이노비즈협회의 선전 사무소로 이용되며 협회 회원사들의 중국 진출 거점 역할도 맡는다. 또한 이노비즈협회는 현판식에 선전시 상무부, 선전시 무역촉진회 등 지자체 및 지역 경제협회를 초청해서 한·중 기업협력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노비즈협회는 8월 베이징 사무소 개소에 이어 선전 진출에 나서며 양국 기업 간 협력을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같은 기간 한국엔젤투자협회도 중소벤처기업부의 팁스(TIPS) 프로그램 선정 기업 12곳을 이끌고 선전으로 향한다. 한국엔젤투자협회의 목적은 중국의 자본시장과 한국의 팁스 기업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국 벤처캐피털(VC) 및 액셀러레이터(AC)들을 모아 교류 행사를 개최한다. 아울러 안영일 한국엔젤투자협회 팁스타운센터장은 선전에서 열리는 인공지능(AI) 관련 포럼 ‘신 서밋 2025’에서 연사 자격으로 한국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사업 모델을 소개할 예정이다.
창업진흥원도 선전에 가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 유치에 나선다. 창업진흥원은 이달 14일부터 16일까지 선전에서 열리는 ‘중국하이테크박람회(CHTF)’에 실무진을 파견한다. CHTF는 참가 기업 수만 5000여 개를 웃도는 중국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다. 창업진흥원은 CHTF 참가사 중 유망한 기업을 선별해 한국 진출 및 투자 유치를 영업한다. 특히 스타트업 특별비자 등 해외 기업이 한국에서 사업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혜택을 홍보할 방침이다. 창업진흥원이 중국의 기술 박람회에 직원을 보내 중국 기업 대상으로 한국 진출을 권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개 기관이 동시에 선전을 찾는 배경엔 최근 한·중 양국의 관계 개선 움직임이 있다. 특히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의 협력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일 97분가량의 회담을 나눈 후 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는데 이 중 5건이 경제와 직결된 MOU였다. 2017년 한한령(한류 금지령) 이후 막혔던 중국 시장의 문이 다시 열릴 기미가 보이면서 중기·벤처 지원기관들도 바쁘게 중국 기업 공략에 돌입했다.
김대종 한국중소기업학회 이사는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생산의 50%를 담당한다"며 "중소·벤처기업 단위의 중국 교역 확대는 한국 경제에 생기를 돋게 하는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김 이사는 “과거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 직접 투자했다가 한한령으로 투자 손실 피해를 본 바 있다”며 “우리 기업의 재산권을 보호할 안전장치도 같이 마련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APEC 인터뷰] '고객의 미래 밝혀주는 환한 빛 될 것' 중국광대은행 서울지점 리위통(李雨桐) 대표](https://img.newspim.com/news/2025/11/03/251103102602629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