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결제 기술 기업 비자(Visa)가 26일 금융위원회에서 주최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여해, 에이전틱 AI(Agentic AI)가 이끄는 커머스의 미래와 자금 이동 트렌드에 대한 최신 동향을 공유했다.

비자는 이번 행사에서 ‘에이전틱 AI와 커머스의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결제 기업의 AI 에이전트 활용 현황과 디지털 결제의 자동화 등 에이전틱 AI가 미래의 커머스에 가져올 변화를 소개했다. 또한 토큰화, 스테이블코인, AI, 데이터 인텔리전스 등 결제 산업을 재정의할 새로운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자금 이동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비자 세션에는 패트릭 스토리 (Patrick Storey) 비자 코리아 사장, 아비짓 라메쉬 (Abhijeet Ramesh) 비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제품 및 솔루션 담당 부사장, 스왑닐 마사드 (Swapnil Mhasde) 비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송금 서비스 상품 총괄이 연사로 참여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 패트릭 스토리 사장은 AI 에이전트가 소비자와 기업을 대신해 거래와 결제를 수행하는 에이전틱 AI 시대의 도래를 강조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비자 인텔리전트 커머스(Visa Intelligent Commerce)를 소개했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도 AI 커머스 실현을 위한 환경이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과 비자가 구축해 온 서비스 아키텍처(Service Architecture)를 미래 커머스를 이끄는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어진 세션에서 아비짓 라메쉬 부사장은 비자 인텔리전트 커머스가 제공하는 안전하고 개인화된 거래 환경을 소개했다. 그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상용화 준비 상황과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 현황을 공유했다.
비자는 앤트인터내셔널(Ant International),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퍼플렉시티(Perplexity), 스트라이프(Stripe), 텐센트(Tencent), LG유플러스 등과 함께 에이전틱 커머스 구현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향후 아시아 태평양 각국의 규제 환경에 맞춰 2026년 초까지 파일럿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스왑닐 마사드 총괄은 기술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자금 이동 환경을 조명했다. 그는 비자가 카드를 넘어 자금 이동 전반을 지원하는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특히 송금 솔루션 비자 다이렉트(Visa Direct)를 중심으로 국경을 넘어 더 빠르고 투명한 가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더불어 스테이블코인 지갑으로 직접 대금을 지급하는 파일럿 프로그램, 서클(Circle)과의 USDC 연동, 글로벌 월렛 파트너십, SAP와의 임베디드 금융 협력 등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차세대 자금 이동 기술을 실험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는 ‘핀테크×AI, 금융에 취향을 더하다’를 주제로 26일부터 28일까지 양재 aT센터에서 열린다. 비자는 이번 행사 참여를 계기로 국내외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에이전틱 AI 기반 커머스와 자금 이동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