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윈도우10 기술지원 10월 종료 대응 종합상황실 운영

2025-04-23

모니터링, 전용백신 배포, 상담 지원

[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대응을 위한 종합상황실을 23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MS의 윈도우10 운영체제(OS)는 오는 10월 14일부터 기술지원이 종료될 예정으로, 종료 시점부터 윈도우10 이용자는 그간 무료로 제공받은 신규 보안패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 이에 기술지원 종료 이후에도 윈도우10을 이용하는 경우 신규 악성코드 감염 등 사이버 위협에 노출될 우려가 크기에 윈도우11로 업데이트(무료)가 권장된다.

과기정통부는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후 신규 취약점을 악용해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신규 악성코드 출현 시 전용백신 개발·보급 등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는 설명이다.

종합상황실은 △종합대책반(유관기관 협력·대외홍보) △기술지원반(전용백신 개발·배포) △상황반(상황 모니터링과 사고대응·상황 전파 등) △민원반(윈도우10 종료 관련 전문 상담 서비스)으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과기정통부는 윈도우11 업데이트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의 OS 현황 점검 실시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전국 시·도 교육청에 관내 학교를 대상으로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안내문을 발송하도록 요청, 학생·학부모·교사에게 윈도우10의 보안 업데이트 중단을 알리도록 할 예정이다.

MS는 지난달부터 윈도우10 이용자의 컴퓨터를 통해 윈도우11 업데이트 안내를 진행하고 있으며, 5∼6월 중에는 네이버, 쿠팡, 하이마트 등과 함께 컴퓨터 구매 프로모션을 진행해 윈도우11의 최소사양을 충족하는 PC 구매를 지원한다.

한편, 윈도우11 업데이트 과정에서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보호나라 누리집이나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에 따라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제로데이 공격(Zero-Day Attack)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개인과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면서 “개인과 기업도 윈도우11으로 업데이트를 하는 등 보안에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