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월가 민관 동원체제] ⑦동원령의 예비군들, 원자력·전력망

2025-11-13

전력 수요 폭증과 공급 시간차 보완

소형 원자로, 중국과 표준 경쟁 돌입

누스케일과 오클로, 나노뉴클리어 등

전력망 행정명령서 안보 핵심으로 규정

아메리칸슈퍼컨덕터와 ESS테크·EOS 등

이 기사는 11월 13일 오후 3시1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월가 민관 동원체제] ⑥동원령의 예비군들, 전략부품>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원자력 발전에서는 소형 원자로 개발사나 기존 원전 성능 향상 업체가 전략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인공지능(AI) 기술 보급 등에 따른 전력 수요 폭증과 공급 능력 사이 시간차를 보완할 핵심 축으로 거론된다.

소형 원자로에 전략적 가치를 더하는 것은 배치 속도와 입지 유연성이다.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 방식이라 건설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 본질적인 이유는 중국과의 기술 표준 경쟁에 돌입했다는 점이다.

원전 출력개선 기술의 전략적 가치도 높게 평가된다. 대형 원전 건립에는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걸린다. 당장 신규 원전이 들어서지 않아도 출력을 20~30% 높일 수 있다.

다음은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이나 자금 여력이 제한돼 전략적 투자가 요긴한 것으로 인식되는 업체들이다.

◆누스케일

누스케일(SMR)은 77MW(전기출력 기준)급 소형모듈원자로(SMR; 출력 20W 초과, 300MW 이하<기준은 다를 수 있음>개발하는 업체다. 기존 경수로 기술을 소형화한 열중성자 방식으로 최대 12기를 묶어 924MW 규모 발전소를 구성할 수 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설계 승인을 받은 유일한 SMR 업체다.

◆오클로

오클로(OKLO)는 15~75MW급 마이크로리액터(극소형 원자로)를 개발하는 업체다. 마이크로리액터는 SMR보다 약 50배에서 300여배 작아 트레일러로 운반이 가능하다. 일반 경수로와 달리 고속 중성자를 활용해 사용후핵연료 재처리가 가능하다.

원래 마이크로리액터는 20MW 이하를 의미한다. 오로라가 75MW급으로까지 출력을 키운 것은 대형 데이터센터 고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오클로는 올해 11월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의 오로라 연료제작시설(A3F, 오클로 소유지만 국립연구소 부지 내 건설)에 대한 미국 에너지부(DOE) 핵안전설계협정 승인을 획득했다. 작년 상장 이후 증자 등을 통해 자금 조달을 가속 중이다.

◆나노뉴클리어

나노뉴클리어(NNE)도 마이크로리액터(15MW 급)와 관련 핵연료를 개발하는 업체다. 나노뉴클리어 개발하는 마이크로리액터는 휴대혀 원자로로 우주·국방 용도를 겨냥한다.

◆라이트브리지

라이트브리지(LTBR)는 기존 경수로의 성능과 안전성을 끌어올리는 금속연료를 개발하는 업체다. 현재 상용 원전에서 쓰는 우라늄 산화물 연료봉 대신 금속 합금 기반 연료를 투입해 출력 밀도를 높이고 사고 저항성(원자로 비상 상황에서 연료가 손상되지 않고 버티는 능력)을 높인다.

라이트브리지의 금속연료는 기존 대형 경수로와 신규 SMR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라이트브리지의 연료를 쓰면 같은 원자로에서 출력을 20~30% 높이고, 연료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고 한다.

2. 전력망

전력망 역시 국가·경제 안보의 핵심으로 규정된다. 올해 4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전력망의 신뢰성과 안보 강화' 행정명령을 통해 이같이 규정했다.

에너지부는 7월 보고서를 통해 발전사들이 노후화 등으로 2023년까지 폐쇄를 예고한 총 설비용량 104GW가 사라지면 정전 위험이 현재 대비 100배가 되고 정전 시간은 현재 한 자릿수에서 800시간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전력망 관련 기업 역시 '타이밍 갭'을 메울 전력 안정화 장비나 축전 업체가 전략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발전소나 송전선 증설에는 제법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당장의 발전 용량이 급증하는 수요를 뒷받침하려면 이들의 제 역할이 필수다. 다음은 관련 기업들이다.

◆아메리칸슈퍼컨덕터

아메리칸슈퍼컨덕터(AMSC)는 전력망의 전압과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안정화하는 장비를 만든다. 전력 수요가 급변하면 전압이 흔들려 정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MSC의 'D-VAR 스탯콤(STATCOM)' 시스템은 이를 0.01초 단위로 감지해 무효전력(실제 가동되지는 않지만 전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전력)을 주입·제거해 전압 붕괴를 막는다.

◆ESS테크·EOS에너지

ESS테크(GWH)와 EOS에너지(EOSE)는 리튬을 전혀 쓰지 않는 배터리를 생산한다. ESS는 철(鐵) 흐름 배터리를, EOS는 아연 배터리를 만드는데 두 금 속 모두 미국 내에서 대량 확보 가능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리튬·코발트 공급망을 우회한다. EOS는 작년 12월 에너지부에서 3억350만달러 대출보증을 받아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다. ESS는 작년 6월 미국 수출입은행(EXIM)의 금융지원을 받았다.

◆파이오니어파워

파이오니어파워(PPSI)는 대형 컨테이너 형태의 모바일 전력 시스템을 공급한다. 전력망 연결이 지연되고 있는 AI 데이터센터에 즉시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차 충전소도 운영한다, 이 e-부스트(e-Boost) 시스템은 트레일러로 운반돼 현장에 설치되면 곧바로 가동된다.

◆플러그파워

플러그파워(PLUG)는 수소 연료전지를 제조한다. 디젤 발전기처럼 백업전력을 제공하지만 배출가스가 없고 수소만 공급되면 며칠간 연속 가동이 가능해 데이터센터와 군사시설의 비상전원으로 쓰인다.

▶⑧편에서 이어짐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