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이 계열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친인척관리 시스템 구축에 돌입했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만큼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암호화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4일 금융감독원 검사 발표를 전후해 이 같은 분위기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할지 주목된다.
우리금융에 따르면 이 회사는 그룹사 친인척관리 시스템을 1분기 내 마련한다. 그룹 IT자회사 우리에프아이에스(FIS)를 중심으로 관련 사업 진행해 금융권서 최고 수준 통제 시스템 갖출 방침이다.
앞서 우리은행은 이달 중순부터 임원 친인척 개인정보 등록제를 가동했다. 본부장급 이상 친인척 등록 동의를 받아 자체 전산에 등록하고 대출 심사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번 프로젝트로 별도 친인척 관리 시스템이 완성되면 데이터를 이관해 관리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현재 임시로 은행 전산을 활용해서 등록 관리 중이며, 우리에프아이에스에서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새로운 체계에서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건 등으로 홍역을 치렀다. 해당 사안은 임종룡 회장 거취 문제까지 번진 상태다. 금감원은 이 사안을 포함해 4일 주요 금융지주 및 은행 검사결과(우리금융·우리은행·KB·NH농협금융지주)에서 1차 검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복현 원장이 “매운 맛을 보여주겠다”고 한 만큼 그 수위에 관심이 쏠린다.
은행권은 임직원 본인과 친인척에 관해 전산 관리·통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그 수준이 높지 않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에 따르면 신한은행, 하나은행, iM뱅크, 부산·경남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Sh수협은행 등은 은행원이 가족과 친인척이 받은 대출 예·적금에 대해 전산 조회를 할 수 없는 형태로 내부통제를 운영 중이다. 5대 은행 가운데 KB국민·우리·NH농협은행은 가족 대출 발생 시 알림만 팝업창 형태로 송출 중이다.
우리금융이 금융권에서 최고 수준 친인척 관리 시스템을 갖추며 이 같은 분위기는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될 분위기다.
이달 취임한 강태영 농협은행장은 취임일성으로 “업무 재설계로 모든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고 취약점을 전면 재정비해 내부통제 강화와 금융사고 제로화를 실현하겠다”면서 “금융 패러다임 대전환으로 디지털 리딩뱅크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은 최근 내부고발자 포상금 상한선을 5억원에서 20억원으로 대폭 상향했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내부통제 문제는 이제 치명적인 사안”이라면서 “은행을 중심으로 인사 차원에 이어 전산 시스템으로 이를 보완하려는 검토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