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해부] 방송 오디션 포맷의 한계...새 돌파구 어디에?

2025-05-14

뚝 떨어진 방송 오디션 매력에 성공하는 팀 극소수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이번에도 또 하나 나왔나? 아이돌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 솔직히 지겹다."

6년 전, Mnet '프로듀스 101' 시리즈는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국민 프로듀서라는 이름 아래 수백만 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프로그램 종방 후 결성된 그룹은 음악 방송 1위는 물론 연말 시상식에서도 상을 휩쓸며 가요계를 뒤흔들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같은 포맷의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은 더 이상 과거와 같은 파급력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종방한 JTBC의 '프로젝트 7'과 SBS의 '유니버스리그'는 큰 화제 없이 조용히 막을 내렸다. 오디션 프로그램 전통 강자인 Mnet조차 '보이즈 플래닛2' 제작 과정에서 출연자 섭외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설상가상 SBS가 새롭게 선보인 '비 마이 보이즈'는 출연자 공개 직후부터 "차별점이 없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한 데뷔는 더 이상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다. 한때는 신선하고 흥미로운 형식으로 대중의 이목을 끌었지만, 유사한 포맷이 반복되며 신선함이 사라졌다. "또 하나의 프로그램이 나왔네" 정도 반응이 일반적이다. 2022년 데뷔한 '클라씨', 2023년 '판타지 보이즈', 올해 데뷔한 '누에라' 등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탄생한 그룹들 역시 데뷔 이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거나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초등시절 K팝 팬이 됐다고 하는 20대 여성 고모 씨는 "국민 프로듀서로 투표도 하고 데뷔 쇼케이스도 갔는데, 이후 논란으로 그룹이 해체됐다"며 "응원하던 마음이 허무해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팬 20대 여성 신모 씨는 "항상 비슷한 전개라서 예상이 된다. 악의적인 편집, 억지 성장 서사가 이제는 지겹다"며 "눈에 띄는 참가자가 있어도 방송이 지루해서 중간에 하차하게 된다"고 말했다.

많은 팬들이 꼽는 문제는 '감정 몰입이 어렵다'는 점이다. 연습생들의 눈물, 경쟁과 우정, 극적인 데뷔까지 오디션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서사는 감동보다 피로감을 가중 시킨다. 프로그램마다 소속사만 다를 뿐, 전개 방식과 연출은 판박이처럼 반복, 예측 가능성도 높아졌다.

방송사와 기획사들은 여전히 오디션 포맷에 기대고 있다. 방송 노출을 통한 단기 팬덤 형성, 유료 투표 시스템, 굿즈와 이벤트 수익 등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 때문이다. 이처럼 '단기 흥행'에 치중한 방식은 팀의 지속적인 생존 가능성까지 보장하지 못한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작비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참가자들에게는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는 등 인건비가 들지 않으며, 협찬·PPL·SNS 콘텐츠 유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한 연습생 A씨는 "사실상 데뷔를 위해선 방송 외엔 선택지가 없었다. 예전엔 떨어져도 또 다른 오디션을 노릴 수 있었지만, 지금은 성공하는 팀 자체가 드물어 기대도 안 된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데뷔한 아이돌 그룹이 장기 활동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콘텐츠, 음악성, 소속사의 시스템, 팬덤 등 복합적인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방송을 통한 인지도 상승은 출발선에 불과하다. 데뷔는 했지만 활동이 불분명하거나 팀 유지가 불투명한 그룹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방송을 통해 데뷔 시점이나 인지도를 높이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작사나 연습생들 입장에서는 만족스러울 수 있다"면서도, "시청자 입장에서는 유사한 포맷과 스토리의 반복으로 새로움이 떨어지고 재미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평범해진' 오디션 프로그램이 계속 제작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방송 외적인 수익 구조가 충분히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마니아 팬층 외 일반 시청자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재와 형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oonddo00@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