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 민생지원금 투입 앞두고 간편결제 시장 들썩

2025-07-15

오는 21일 12조원 규모로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간편결제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쿠폰이 지급되는 만큼 간편결제업체가 이용자 수를 단번에 빠르게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어서다.

15일 지급결제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 간편결제사는 저마다 자체 플랫폼에서 오픈알림 신청 및 사용안내 서비스를 개시하며 대대적 홍보에 나서고 있다.

소비쿠폰은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재난지원금과 마찬가지로 직접 신청이 없을 경우 지급되지 않는다. 행정안전부에서도 “네이버앱·카카오톡·토스 등 17개 모바일앱 또는 국민비서 홈페이지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알림서비스를 사전 요청하라”고 안내했다. 행안부는 신청 개시 첫 주인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는 출생년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운영되는 요일제에 따라 신청을 접수한다.

주요 플랫폼에서는 알림 신청 과정에서부터 자사의 간편결제 서비스를 통해 최종 신청까지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가 혜택을 예고하는 등 간편결제사를 중심으로 벌써부터 마케팅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이날 오픈알림 신청 서비스를 개시하는 동시에 오는 21일 이후부터는 현장결제(포인트·머니) 이용시 추가 포인트 뽑기와 머니카드 이용시 오프라인 0.3% 포인트 적립 등 추가 혜택을 제시했다. 머니카드 발급을 위한 비씨카드 신청 링크 제공까지 안내하고 있다. 단순 신청창 제공을 넘어 플랫폼을 통한 자체 결제를 유도하는 분위기다.

토스와 카카오페이도 맞불을 놓고 있다. 이미 편의점 등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가맹점을 중심으로 간편결제사와 각종 부가 혜택 계약을 마무리한 상황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불거진 과당 경쟁 문제로 인해 정부에서도 지나친 마케팅에는 부정적”이라면서도 “그렇다고 손놓고 있을 수는 없는 만큼 간편결제사를 중심으로 논의를 마쳤다”고 전했다.

반면 카드사들은 소극적이다. 앞서 정부와 수수료 인하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은 것은 물론이고 사용처가 영세 가맹점으로 제한되는 만큼 실제 이익 역시 크게 기대할 수 없어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이미 수수료 수익이 낮아질대로 낮아진 상황에서 마케팅까지 할 여력이 없다”면서 “소비쿠폰 지급을 계기로 간편결제 비중이 높아질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