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사례 있었는지
알거나 확인된 것 없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502/news_1738807289_1458745_m_1.jpeg)
정부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에 휩싸인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해 접속차단 조치를 시행한 가운데 국방부가 "기술적 우려에 대한 대책을 해 왔고, 또 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딥시크 차단' 관련 질문을 받자 "생성형 AI와 관련해 요즘 기술적인 또는 보안상 우려가 있는 것은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무엇보다 그는 "국방부가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 인트라넷망으로 모든 정보 교환·교류·처리 업무를 처리한다"며 "일부 업무용으로 인터넷을 활용하는데, 그 인터넷에도 필요한 보완대책 등은 다 강구돼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생성형 AI를 군 인터넷 PC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아니다"며 "관련 부서와 협의하에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보안상에 문제가 있는 사이트 또는 툴, 이런 것들은 지금까지도 그래왔듯 필요한 후속 대책을 해 가겠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딥시크는 안되지만 챗GPT는 되는지 여부는 "그건 아니다"며 "관련 부서와 협의하에 필요한 조치를 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군 인터넷 PC에서 챗GPT 접속도 차단됐는지는 명확히 답하지 않은 것이다. 챗GPT는 미국을 대표는 생성형 AI다.
앞서 3일 행정안전부는 광역지자체 17곳과 중앙부처에 "챗GPT·딥시크 등에 대해 보안상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니 충분한 검증 없이 활용하지 않도록 유의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국방부를 비롯해 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자체 판단에 따라 외부 인터넷망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의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딥시크 활용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피해 사례가 있었는지 아직 알거나 확인된 것은 없다"며 "기술적 우려라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말씀이다. 인터넷상에서 여러 우려가 있을 때 그러한 기술적 우려에 대한 대책을 해 왔고, 또 하겠다는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