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11월 3일 오후 3시2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이번 주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팔란티어테크놀로지스(종목코드: PLTR)와 AMD(종목코드 동일) 등 S&P500 구성 기업 130여곳이 분기 결산을 발표한다. 지난주 150여곳이 결산을 공개한 데 이은 분주한 주간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공개한 S&P500 기업의 82% 초과분이 애널리스트들의 기대치를 웃도는 이익을 발표했다. 다음은 CNBC가 정리한 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결산 기업 일정과 사안이다.
◆팔란티어
팔란티어는 3일(현지시간) 주식시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한다.

팔란티어는 2분기 결산에서 분기 매출액 10억달러를 첫 돌파했다. LSEG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에 따르면 팔란티어의 3분기 주당순이익은 60% 넘게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씨티그룹의 타일러 래드키 애널리스트는 "정부와 상업 부문 모두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확인될 것"이라며 "이번 분기도 강한 실적을 기대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오라클, 스노우플레이크와의 신규 파트너십이 확대되고 있고 최근 'AIPcon8' 행사에서 여러 신규 상업 고객이 발표됐다"고 했다.
래드키 애널리스트는 그러면서 "파트너사들[의 면면]과 분기 중 뉴스 흐름을 볼 떄 미국과 영국에서 정부 부문 수요가 강하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팔란티어는 최근 4차례 실적 발표 중 3차례 공표 다음 날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화이자
화이자(PFE)는 4일 주식시장 개장 전 3분기 실적을 공표한다.

2분기 결산 발표 당시 화이자는 비용 절감책에 힘입어 올해 이익 전망치 상향을 발표했다. LSEG의 컨센서스 집계치에 따르면 이번 분기 주당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번스타인의 코트니 브린 애널리스트는 화이자에 대해 "우리가 담당하는 대형주 중 실적 미스(기대치 미달) 위험이 가장 크다고 본다"며 "[이유는] 하반기 실적과 연간 실적 전망치를 강하게 설정했기 떄문"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백악관과 [약가 인하] 합의가 완료된 만큼 경영진의 GLOBE & GUARD 파일럿 프로그램 관련과 추가 정책 변화 가능성, 메트세라(Metsera) 데이터 발표 및 3상 임상 시험 착수 계획을 주목할 것"이라고 했다.
비스포크인베스트먼트그룹에 따르면 화이자는 과거 88%의 빈도율로 애널리스트들의 주당순이익 기대치를 상회하는 기록을 보유 중이다.
◆AMD
AMD는 같은 날 주식시장 마감 뒤 결산을 공개한다.

2분기 당시 AMD는 매출액이 기대치를 초과했지만 주당순이익은 미달하는 성과를 보고했다. LSEG 컨센서스에 따르면 AMD의 3분기 이익은 25% 넘게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UBS의 티모시 아르쿠리 애널리스트는 AMD의 강력한 실적을 기대했다. 그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CPU 모두에서 강세가 나타나 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이어 "서버 강세가 매출총이익률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데이터센터 GPU 매출액은 약 17억달러로 추정한다"고 했다.
아르쿠리 애널리스트는 또 4분기 가이던스에 대해 "시장 전망치보다 약 2억달러 높은 93억달러로 추정한다"며 "AMD가 최대 95억달러로 가이던스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이렇게 보는 이유로 서버 업그레이드 수요가 재개되고 기업들이 AI 처리 능력 확대를 추진하면서 AI 투자 붐이 전통 CPU 시장까지 확산되는 효과를 언급했다.
비스포크에 따르면 AMD 주가는 실적 발표 다음 날 평균 1.6%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②편에서 계속됨
bernard0202@newspim.com
![[특징주] 두산, 장중 100만 원 넘어 '황제주' 등극··· 5.58% ↑](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198453_911653_14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