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청정국 향해…양돈 방역 대전환 착수

2025-11-12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오는 2030년까지 돼지열병(CSF) 청정국 지위 확보와 돼지 소모성 질병(PED·PRRS) 발생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양돈질병 방역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민관학 협력체계를 중심으로 연차별·단계별 로드맵을 추진해 양돈산업 전반의 방역 수준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돼지열병은 지난 2017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전국 백신 접종률과 항체 양성률이 95% 이상을 유지해 청정화 기반이 마련되어 있는 상태다. 농식품부는 내년부터 기존 백신 대신 감염축과 접종축 구분이 가능한 신형 마커백신을 전면 도입하고, 연간 25만 건 이상의 정밀검사로 감염 가능성을 조기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야생멧돼지 전파 방지를 위해 접경지역에 미끼예방약 30만두 분을 도포, 포획·검사도 확대한다.

정부는 돼지열병 청정화를 ▲2027년까지 기반 구축 ▲2029년 상반기 청정 확인 ▲2030년 청정국 달성 ▲이후 유지 단계로 구분해 추진키로 했다. 2029년에는 백신 중단 여부를 결정하고, 2030년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 청정국 인증을 신청할 계획이다. 제주도의 경우 2029년까지 1년 앞당겨 지역 단위 청정화를 추진한다.

반면 PED와 PRRS 등 소모성 질병은 매년 반복 발생되어 연간 5천억 원 규모의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만큼 전국 농장의 질병 진단 결과를 수집·지도화해 공유하고, 도축장·축산차량 등 고위험 경로에 바이러스 환경검사를 도입한다. 이와 함께 농장 내 구역을 오염(빨강)·완충(노랑)·청정(초록)으로 나누는 ‘3색 방역 캠페인’, 백신접종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 질병 징후를 감지하는 AI 기반 분석 시스템 확대도 추진한다.

농식품부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돼지열병 청정화와 소모성 질병 저감이 실현되면 생산성 향상과 수출 기반 확보 등 양돈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며 “정부 정책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만큼, 농가의 자율방역 실천과 현장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