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고소 '읽씹'? … 존 프로서, 이번엔 '아이폰 17 프로' 공개 [디지털포스트 모닝픽]

2025-08-11

“AI가 쓰는 단어, 사람도 더 많이 쓰게 됐다”

챗GPT-5 성능 논란에… 올트먼, “이전 버전도 다시 제공”

손흥민 LA 이적에… 애플TV 웃고 쿠팡플레이 울고

[디지털포스트(PC사랑)=이백현 기자] 디지털포스트가 아침 주요 ICT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 네오플 노사 간 갈등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오플 노조는 전면 파업에 돌입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고, 경영진도 쉽사리 수익배분금(PS) 제도화 등 노조의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네오플 노조가 소속된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화섬식품노조)은 오는 12일 오후 3시부터 넥슨코리아 앞 공원에서 네오플분회 파업투쟁 승리를 위한 결의대회를 열 예정입니다. 노조 측은 네오플이 아닌, 모회사 넥슨코리아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노조는 “‘그룹 정책이라 네오플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수없이 들었다”며, 넥슨이 직접 이 성과급 보상체계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iOS 26에 대한 유출 혐의로 애플로부터 고소된 IT 정보유출자(팁스터) 존 프로서가 차기 아이폰 렌더링을 공개했습니다. 프로서는 지난 9일 유튜브 채널 FPT(Front Page Tech)에서 아이폰 17 프로의 렌더링 이미지를 공개하며 “이번 렌더는 거의 최종 버전”이라며, “곧 양산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로서는 아이폰 17 프로와 프로 맥스에 새롭게 도입되는 ‘카메라 바’ 디자인이 잠망경 렌즈의 촬영 거리를 기존보다 크게 늘리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두 모델 모두 기존 1200만 화소 망원 카메라 대신 4800만 화소 카메라로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프로서는 “추측입니다, 저를 고소하지 마세요 lol(laugh out loud, ‘크게 웃다’의 관용 표현)”라는 자막을 영상에 넣어 애플과의 법적 분쟁에도 여유있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애플은 프로서가 직원의 개발용 아이폰에 허락없이 접근해 iOS 26 관련 정보를 입수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 정부가 2차례 유찰된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구축을 재추진하면서 민간 기업들이 걸림독으로 지목한 요구조건을 대폭 완화할 전망입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당초 정부가 지분율 51%로 국가 AI컴퓨팅 센터 지배 구조에서 우위를 점하려던 계획을 민간이 더 많은 지분을 갖는 쪽으로 수정 중입니다. 또 정부 지분 매수 의무, 국산 AI 반도체 도입 비율 등도 대폭 완화합니다. 정부는 신경망처리장치(NPU) 위주인 국산 AI 반도체를 2030년까지 컴퓨팅 센서 구성 반도체의 최대 50%까지 확충한다는 조건을 삭제할 방침입니다.

■ 손흥민의 로스앤젤레스(LA) FC 이적을 두고 쿠팡플레이와 애플TV의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손흥민은 영국 런던을 떠나 미국 LA FC로 이적한지 3일만인 9일(현지시간) 교체 선수로 출전해 30분간 활약했습니다. 최근 영국 프리미어리그(EPL)의 중계권을 사들인 쿠팡은 난처해진 반면, 2023년부터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를 독점 생중계하는 애플TV는 ‘손흥민 특수’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쿠팡플레이는 지난 3일 손흥민의 EPL 토트넘 고별전을 중계하면서 1년만에 최대 일간활성화이용자수(약 128만 명)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 오픈AI가 신규 모델 ‘챗GPT-5’를 공개하면서 사라진 이전 모델(GPT-4o)를 다시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9일(현지시간)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X(구 트위터)를 통해 “GPT-5가 대부분 더 잘 작동하지만, 우리는 사람들이 GPT-4o에서 좋아하는 일부 요소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했다”며, “계속 GPT-4o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픈AI는 지난 8일(현지시간) 커뮤니티 레딧에서 GPT-5 팀원들이 답변하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AMA)’ 문서를 개설하고 GPT-5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이때 많은 사용자가 구 모델인 GPT-4o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챗GPT 등장 이후 AI가 선호하는 특정 단어들이 사람 간 일상 대화에서도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구진은 지난 1일(현지시각) 발표한 ‘대본 없는 대화에서 나타나는 AI 흔적’논문에서 챗GPT 출시 전후로 대화체 단어 사용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연구진은 총 1,326개의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대상으로 챗GPT 출시 전후 각각 1,100만 단어씩 동일한 비율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AI가 대화체에서 사용하는 ‘surpass(능가하다)’와 ‘boast(자랑하다)’ 단어 사용 빈도는 140% 이상 증가했습니다. ‘strategically(전략적으로), ‘align(맞추다), signnificant(중요한) 단어도 각각 87.9%, 36.6%, 17.3% 증가했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기업들의 정보보호 공시를 제대로 이행했는지 파악에 나섰습니다. 과기부와 KISA는 정보보호 공시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정보보호 공시 검증을 오는 11월 말까지 약 3개월 간 실시한다고 전날(10일) 밝혔습니다. 이번 검증은 올해 공시한 773개(의무 666, 자율 107개)사 중 국민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등 40개사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투자·인력 등 공시 내용을 직접 점검해 공시 제도의 실효성과 사회적 신뢰를 확보한다는 것이 목적입니다.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