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1천명 머무는 항만, 드론테러 ‘무방비’

2025-10-26

포항 영일만항 크루즈 숙소, 드론 탐지·차단 장비 전무

4대 항만 중 안티드론 장비 보유는 부산 북항뿐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항만의 드론 테러 대응체계가 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국회의원(충남 당진)은 27일 해양수산부와 4대 항만공사(부산·인천·여수광양·울산)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 정부의 조속한 안전망 강화 대책을 촉구했다.

현행 「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부산항, 인천항, 여수광양항, 울산항 등 4대 무역항 내에서는 드론 비행이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항만 인근 지역은 별도의 비행 제한이 없어, 여수항(공항 관제권)과 울산항(원전·공항 관제권)을 제외하면 부산항과 인천항은 외부 드론 비행이 가능한 ‘보안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4대 항만 중 드론 탐지·차단(안티드론) 시스템을 갖춘 곳은 부산 북항이 유일하다. 나머지 항만은 대부분 장비 도입이 2026년 이후로 예정돼 있어, 당장 APEC 정상회의 시점까지는 항만별 드론 대응 능력이 사실상 ‘제로’ 수준이다.

드론테러 대응훈련 실적도 부진하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항만별 훈련 횟수는 ▲부산항 7회 ▲여수광양항 5회 ▲인천항 2회 ▲울산항 2회로, 연평균 1회도 채 되지 않는다.

특히,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약 1천 명의 정상급 인사와 수행단이 크루즈에서 머무를 예정인 포항 영일만항은 드론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았고, 드론탐지·차단 장비도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드론테러 대비 훈련 역시 단 한 차례도 실시되지 않아 사실상 무방비 상태라는 지적이다.

어기구 의원은 “APEC 정상회의는 대한민국의 안전관리 역량을 전 세계에 보여줄 중대한 무대”라며 “정상단이 머무를 항만이 드론테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국가행사 보안은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예방이 핵심인만큼 정부는 항만 보안과 대테러 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해경·군·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항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