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문제 드러내기' 류재철 신임 CEO 낙점
금성사 가전연구소 출신…생활가전 1등 키운 기술 리더
UP가전·가전구독·AX로 성장 견인…스윙생산·글로벌 사우스 확장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전자가 1등 생활가전을 이끌어 온 생활가전(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을 신임 최고경영자(CEO)로 선임했다. 레드오션으로 평가되는 글로벌 가전 시장에서 본원적 경쟁력을 끌어올린 성과와 인공지능(AI) 전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한 인사라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27일 LG전자에 따르면 류재철 CEO는 1989년 금성사 가전연구소 입사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재직 기간의 절반은 연구개발 업무에 몸담았고 이후 사업 책임자로 나섰다. 기술 이해도를 기반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별적 고객 경험을 설계해 온 기술형 사업가다.

2021년부터는 HS사업본부의 전신인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을 총괄했다. 이 기간 LG 생활가전은 단일 브랜드 기준 글로벌 1위 위치를 굳혔다. 지난 3년간 생활가전 매출 연평균 성장률은 7% 수준이다. 북미에서는 3분기 기준 생활가전 매출 점유율 21.8%로 1위를 유지했다. 컨슈머리포트 신뢰도 평가, JD파워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여러 제품군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경영철학은 '문제 드러내기'와 '강한 실행력'으로 요약된다. HS사업본부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문제 드러내기 콘테스트'를 열어 실무 시각의 개선 과제를 발굴했다. 도출된 수천 건의 이슈와 해법은 구매부터 제조, 서비스까지 전 밸류체인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연말 리더십 워크숍 'GIB(Go Into Battle)'로 조직 실행력도 점검한다.
고객·기술·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퍼스트 무버' 전략도 전개했다. 구매 후 기능을 계속 올리는 'UP가전(업 가전)'으로 제품 개념을 바꿨다. 가전에 서비스를 결합한 가전구독 모델은 재작년 매출 1조원을 넘었고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은 2조원에 근접했다.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는 생산 거점을 유연하게 돌리는 '스윙생산체제'로 대응해 관세 부담 속에서도 매출과 이익을 지켰다.
글로벌 사우스 공략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 브라질 파라나주에 신공장을 짓고 현지 맞춤형 제품 공급과 인근 지역 수출 거점을 함께 노린다.
AI 전환(AX, AI Transformation) 역시 핵심 과제로 직접 챙기고 있다. 생활가전 연구개발(R&D) 조직에는 오픈AI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활용한 추론형 AI를 도입했다. 실험 없이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이는 구조다.
HS사업본부의 '찾다(CHATDA, CHAT based Data Analytics)' 시스템은 씽큐 앱과 제품에서 수집한 사용 데이터를 AI 대화형 분석으로 전환했다. 브라질 세탁 습관 분석 사례처럼 지역별 생활 패턴을 반영한 제품 기획에 활용 중이다. LG전자는 '찾다' 도입 후 데이터 분석 소요 시간이 최대 30분 이내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syu@newspim.com



![[2025 글로벌 ACX 초월 대상] 〈제품〉혁신성 부문 최우수상-플로우컨트롤 'Flowcontrol PAL'](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4/news-p.v1.20251124.79cde9bbf0564176b6eeca9f5616be20_P1.jpg)


![[Biz-inside,China] 공장부터 광산까지… 중국, AI로 산업 지형을 새로 쓴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7/c5e99a57-ab42-49cf-8163-1b811393c0a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