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에서 열린 브릭스 외교장관 회의
회원국 미 패권 맞서 다자주의 수호 강조
러시아와는 우크라이나·한반도 등 논의

중국의 외교 사령탑인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브릭스(BRICS) 외교장관 회의에서 미국발 관세전쟁을 비판하면서 브릭스 국가들이 보호주의에 맞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2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28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릭스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미국은 오랜 기간 자유무역의 중심에서 많은 이익을 얻었지만 이제는 관세를 조건으로 각국에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고 있다”며 “만약 침묵하고 타협해 물러서기를 택한다면 불량배(覇凌者)가 더 많이 요구하도록 만들 뿐”이라고 말했다.
바링(覇凌)은 약자를 괴롭히거나 따돌리는 행위를 일컫는 말로 영단어 bully의 영향을 받았다. 학교폭력 등을 설명하는 데 쓰이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면서부터 중국 정부가 미국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왕 주임은 “브릭스 국가들은 모든 형태의 보호주의에 함께 반대하고, 규칙에 근거하고 세계무역기구(WTO)를 중심으로 한 다자무역체제를 단호히 수호하며 그 핵심 가치와 기본원칙을 옹호해 무역 자유화와 편리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왕 주임은 같은 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열고 브릭스 국가들이 미국의 패권에 맞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왕 주임은 “중국과 러시아 간 상호신뢰와 지원은 변하지 않고 있다”면서 “브릭스 창립 회원국으로서 중국과 러시아는 브릭스 틀 안에서 조정과 협력을 강화하고 광범위한 개발도상국과 신흥 경제체의 단결과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중국 외교부는 라브로프 장관이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긴밀한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라프로프 장관이 중국과 ‘우크라이나 위기(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와 관련한 최신 상황과 한반도와 이란 핵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라브로프 장관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러시아를 방문하기를 고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준비 중이다. 또 9월 3일 열릴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한 중국 방문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브릭스는 중국·러시아가 주도하는 신흥경제국 협의체이다. 중국·러시아·인도·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이 창설 멤버이며 현재 회원국은 11개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