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온디바이스 AI, 유리 기판, 뉴로모픽 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대표주(생산), 스마트카(SMART CAR), PCB(FPCB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밥솥,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페라이트, 건설기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재료/부품, 3D 낸드(NAND), HBM(고대역폭메모리), 맥신(MXene), 마이크로 LED, 무선충전기술, LED장비, 반도체 장비, 3D 프린터, 자율주행차, 화이자(PFIZER),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 대표주,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갤럭시 부품주 등...
약세 테마피팅(관이음쇠)/밸브, 남-북-러 가스관사업, 셰일가스(Shale Gas), 인터넷 대표주, 강관업체(Steel pipe), LPG(액화석유가스),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전력설비, 일자리(취업), 윤활유, 도시가스, 원자력발전, 전선,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철강 중소형, 엠폭스(원숭이두창), LNG(액화천연가스), 제지, 토스(toss),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애플페이, 유전자 치료제/분석, 음성인식,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온디바이스 AI 등AI 탑재 삼성전자 갤럭시S25 판매 호조 소식 등에 상승
▷금일 삼성전자의 플래그십폰 신작 '갤럭시 S25 시리즈'가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한 가운데, 기대 이상의 사전 판매 성적을 거두면서 사전 개통 기간을 5일 연장하기로 했음. 특히, 일부 판매처에서 준비됐던 사전 판매 물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음. 갤럭시 S25 시리즈는 앞서 지난 1월24일부터 2월3일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판매에서 130만대가 팔리며 역대 S시리즈 중 최다 판매 신기록을 경신한 바 있음.
▷한편, '갤럭시S25'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두 번째 AI폰으로, 사용자를 이해하는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임. 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 AI'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갤럭시S25' 시리즈를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삼성전자의 새로운 AI 경험과 제품 경쟁력을 적극 알린다는 계산임.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사장)은 "'갤럭시S25' 시리즈는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이라며 "한층 더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역대 가장 자연스럽고 개인화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음.
▷이에 금일 심텍, 제주반도체, 네패스, 네패스아크, 가온칩스, 아모그린텍, 코리아써키트, 덕산네오룩스 등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온디바이스 AI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엔비디아(+3.08%) 상승 및 오픈AI 美 16개주에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검토 소식, 최태원 회장 차세대 먹거리로 SIC 웨이퍼 사업 관심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엔비디아(+3.08%)가 3거래일 연속 상승. 이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이 본격적으로 데이터 센터에 탑재된다는 소식 때문으로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블랙웰을 활용한 AI 데이터 센터용 서버를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3개 사가 최대 5,000억 달러를 합작 투자해 미국 AI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스타게이트에 삼성전자도 합류해 오픈AI에 반도체를 공급할 가능성도 있어 오픈AI의 행보에 더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오픈AI가 미국 16개 주 정부에 데이터 센터 건설 제안 요청서(RFP)를 보냈다고 전해짐. 오픈AI는 앞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건설할 주를 추가로 발표할 예정으로 최대 10곳의 데이터 센터 캠퍼스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알려짐.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이을 차세대 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전기차 등에 탑재될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가 대표적으로 최 회장은 SiC 웨이퍼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애정을 쏟고 있다고 알려짐. 최 회장은 반도체 웨이퍼 생산회사인 SK실트론을 통해 2020년 3월 미국 듀폰사로부터 SiC 웨이퍼 기업인 SK실트론CSS를 인수했으며, SK실트론은 기술 우위를 확보해 시장 점유율을 점차 늘릴 방침임 또한, 한미 듀얼 생산 체계를 구축해 차세대 제품인 200㎜ SiC 웨이퍼를 올해 본격 양산해 시장 추격에 나선다는 계획임.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SiC 웨이퍼 사업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SK실트론CSS 공장을 직접 방문하는 등 미국에서 각광 받고 있다”며 “최 회장이 해당 사업에 큰 관심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어보브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테크윙, 에이디테크놀로지, 네패스, 에이엘티, 아이언디바이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오는 14∼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를 계기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의 회동이 성사될 것으로 알려짐. 두 사람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 방안에 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또한, 러시아 의회에선 이르면 이달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만나 평화 협상을 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되고 있음.
▷한편, 키스 켈로그 미국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뮌헨안보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종전 구상을 발표할 것이란 외신 보도에 대해서는 부인했음. 그는 평화 계획을 발표하는 것은 자신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우리는 (뮌헨에서) 유럽 지도자들과 훌륭한 논의를 할 것이고, 모든 것을 미국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며, "그리고 거기서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음.
▷이에 금일 전진건설로봇, 현대에버다임, 대모, 혜인, 에스와이스틸텍, 대동기어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