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가 비상발전기 가동을 준비하고 냉동·냉장 차량을 사전에 확보하는 방안을 점포에 권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기요금을 내지 못한 홈플러스가 최악의 경우 전기가 끊길 가능성에 대비하고 나선 것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최근 각 점포 담당자들에게 단전 대비 방안을 이메일로 보냈다. 방안으로는 비상발전기의 유량을 확보하고 물류센터의 냉동·냉장 차량을 사전에 섭외해두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매장에서 냉동·냉장 보관해 판매하는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상 시 대응 방안을 고지한 것이다. 이는 홈플러스가 8월 전기요금을 미납하면서 비롯됐다. 전기요금 체납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전력공사는 전기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의 자금난이 지속돼 각종 요금 납부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전기요금 외에 건강·고용·산재보험 등 3대 보험료도 미납했다. 홈플러스 측은 “한전에서 전기요금 미납에 따른 보증금을 요구하는데 이는 신규 자금 수요를 초래해 회사의 자급 압박을 가중시키는 것”이라며 “기관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홈플러스는 최근 문을 닫는 점포에 입점한 업체에 순매출 30%의 3개월 치를 주는 보상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설비, 인테리어비용 등에 대한 보상은 사실상 없는 데다가 매출 또한 기업회생절차 개시 이후 급감한 것을 기준으로 해 입점업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을 제출하기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현재까지 마땅한 인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19일 홈플러스 본사를 찾아 간담회를 열고 적극적인 정상화 방안을 촉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