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를 외친 이재명, 덩샤오핑 '흑묘백묘론' 재해석
정치적 색깔보다 실용적 해결책이 필요한 시대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공식 선거 운동에 나선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경북 구미에서 '흑묘백묘론'을 거론했다. 이 후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에서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떻습니까? 필요하면 쓰는 거고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이면 버리는 거죠."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듯이 자신은 전국에 재생에너지망을 구축하겠다는 에너지 고속도로 공약을 내놓으면서 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고양이는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이른바 '흑묘백묘론'도 꺼냈다. "제 신발에도 빨간색 들어 있지 않습니까? 쥐만 잘 잡으면 되지, 까만 고양이면 어떻고, 흰 고양이면 어떻고…"라면서 지지를 호소했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상관없이, 쥐를 잘 잡을 수 있으면 좋은 고양이다'(不管黑貓白貓,能捉到老鼠就是好貓)의 원래 주인은 제5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었던 덩샤오핑이다.
1970년대 말 중국은 정치적, 경제적으로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무엇보다도 문화대혁명이 가져다 준 후유증이 너무 컸다. 인민들은 혁명이나 공산주의 같은 사상 학습에 피폐해져 있었기에 미래 역시 비관적이었다. 온 나라가 나락으로 떨어지면서 인민들 사이에서도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퍼져 나갔다.
문화혁명의 주체였던 마오쩌둥(毛澤東)이 세상을 떠나고 문화혁명 4인방인 장칭, 왕훙원, 장춘차오, 그리고 야오원위안 4명이 화궈펑(華國鋒)에게 제거됐다. 1977년 덩샤오핑(鄧小平)이 베이징 축구장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건재를 과시했다. 1979년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덩샤오핑은 '흑묘백묘 주노서 취시호묘(黑猫白猫 抓老鼠 就是好猫)'란 말을 남겼다. 유명한 '흑묘백묘론'이다.

덩샤오핑은 공산주의냐 자본주의냐에 관계없이 인민들이 당면한 문제인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면 그것이 제일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정치 이념인 사회주의는 고수하되 경제 정책은 개방 정책을 도입하겠다는 의미였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중국의 발전을 가속화시킨 도화선이 됐던 발언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뜬금없는 계엄령과 탄핵 사태로 조기 대선을 치르면서 이재명 후보는 하루가 멀다 하고 우클릭 발언과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 대선 때만 해도 시종일관 '빨갱이'라는 지탄을 받았던 이재명 후보의 변신은 놀라울 정도다. 분명한 것은 지금 대한민국은 국가적으로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스로 강해지지 않으면 언제 고양이에게 잡혀 먹힐지 모르는 '슬픈 쥐'가 될 수도 있다. 더 이상 색깔을 따지지 말 때다. 파란 고양이면 어떻고 빨간 고양이면 어떤가.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