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의 국회 심의를 앞둔 가운데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가 농촌고용인력지원, 예비청년농업인지원 등 7개 농식품 정책사업에 대한 예산 증액을 촉구했다.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이하 한농연)는 3일 서울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6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 증액 요구사항을 발표한다”며 “내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 및 기금안의 국회 심의를 앞두고 7개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의 예산 증액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농연은 "내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이 전년보다 6.9% 늘어나 ‘국가 책임 농정’과 ‘농업의 국가 전략산업화’ 등 농정 대전환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하면서도 "농업의 가치 확장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고민에 공감하지만, 급격한 농업환경 변화에 맞서 국내 농업 생산을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책이 축소된 것은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농연은 "▲농촌고용인력지원 ▲예비청년농업인지원 ▲조사료생산기반확충 ▲농기계임대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안정 ▲농가사료직거래활성화지원 ▲가축방역대응지원을 ‘7대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으로 선정하고, 국회 심의 단계에서 반드시 증액될 수 있도록 정치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석한 최홍식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은 "내년도 농업예산은 전년 대비 6.9 프로 증가하며 ‘국가 책임 농정’, ‘농업의 전략 산업화’라는 이재명 정부 농정 비전 실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며 "실제 정부 뉴이기 대응 능력 및 농업재해 국가 책임 강화, 선제적 농산물 수급관리, 취약계층 먹거리 안정, 지역 균형성장, AX 기반 확충 등에 집중투자하며 농업의 가치 확장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의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그러나 이상기후와 농업인구 감소, 대외개방 확대 등으로 농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농업 생산을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책은 점차 줄고 있다"며 "실제 농업경영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농가경영 불안이 심화하고 있음에도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 안정, 농가사료 직거래 활성화 지원 등 주요 생산비 지원사업 예산은 반영되지 않거나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무기질비료와 사료는 농업경영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필수재로 가격 부담에 적정 시비 또는 배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농축산물의 생산성 저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곧 물가 상승으로 직결되므로 단순히 농업인만의 문제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 안정, 그 중에서도 민감도와 같은 식당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먼저 국산 농축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이 전제되어야 함을 잊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농업 환경 변화에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농촌 고용 인력 지원 활성화, 청년농업인 육성, 조사료 자급률 제고, 스마트농업 확산, 가축질병 예방 관리의 강화에도 대대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농연은 농촌고용인력 지원, 예비청년농업인 지원 등을 7대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으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대국회 활동에 나선다"며 "7대 농식품 핵심 정책사업 예산이 국회 심의 단계에서 반드시 증액될 수 있도록 여야 구분 없이 정치권의 전폭적인 관심과 기원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2026년도 예산 및 기금안을 전년대비 6.9% 증가한 20조35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전국매일신문] 정영선 기자
jys2030@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설] 막 오르는 예산 심사, ‘밀실’ 벗어나 민생에 초점 맞춰야](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510656.jpg)

![[2025 국감인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언주(민주·용인정) 의원](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4/art_17620726983731_17ea8b.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