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들의 공공 시장 도입이 둔화하고 있다 있다. 공공 SaaS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된 SaaS 서비스는 47개로 지난해 70개보다 23개(33%) 줄었다. 오는 11~12월 새로 등록될 서비스를 감안하더라도, 그간 추세를 고려할 때 지난해 70개를 넘지 못할 전망이다.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은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도입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검색 및 계약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상 SaaS 서비스 등록·계약 규모를 통해 국내 공공 SaaS 시장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시스템의 SaaS 서비스 수는 매년 증가했다. 2020년 7개, 2021년 17개, 2022년 21개, 2023년 23개로 점차 늘다가 2024년 70개로 대폭 늘었다. 그러나 올해 SaaS 서비스 등록이 둔화하면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SaaS 서비스 등록 수 감소는 관련 예산 감소와 궤를 같이 한다.
올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예산은 60억원으로 지난해 160억원에서 100억원 삭감됐다. 2022년부터 매년 40억원씩 증액되다가 올해 대폭 줄어든 것이다. 이 사업은 기업에는 공공 시장 진출을 위한 SaaS 개발을, 국가기관에는 SaaS 도입을 위한 지원금을 제공해 공공 SaaS 활성화를 위한 핵심 사업이다.
한 SaaS 기업 대표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의 올해 SaaS 서비스 계약 규모는 현재까지 85억원 이상으로, 지난해 약 76억원보다는 늘어날 전망”이라면서도 “계약 규모는 감소세로 접어들지 않았지만, 공공 SaaS 시장이 아직 개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계약 규모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고 느낀다”고 우려했다.
공공 SaaS 시장 도입을 고민하는 다른 기업 대표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 등록을 위해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획득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공공 SaaS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아 인증을 굳이 획득하지 않고 있다”며 “공공 SaaS 시장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전 주요 레퍼런스를 통해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한 정책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단독] 정부 공인 벤처기업, 작년 299곳 사라졌다…역대 최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5f79b207-bfe1-4110-9818-35f8fb40abdf.jpg)

![기술특례상장 부활…'A·B·C·D'가 이끈다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0/27/2GZCAWFPQJ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