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간호사 과학자 “하버드 의대 교수도 내 팀서 수평적 연구” [닥터로드]

2024-10-27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대규모 알츠하이머 연구에서 한국인 대상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이혜옥(70) 뉴욕대(NYU) 간호학 교수의 말이다. 4100만 달러(약 579억 원)가 투입되는 이번 대규모 연구에는 16개 대학팀이 참여하는데, 이 교수가 이끄는 프로젝트에는 신경과 의사, 하버드 의대 교수도 합류했다.

간호사 출신 의과학자인 그는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제가 미국에 올 때만 해도 ‘메디컬’(의학·의료)이란 단어가 많았는데 이제는 병원명에도 메디컬 대신 ‘헬스’가 들어간다”며 “‘건강 과학’이라는 범주 안에 의학·치의학·간호학·약학·유전학 등 각 분야가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수평적으로 연구를 하기 때문에 일의 적임자라면 누가 연구를 이끌더라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1976년 조선대 간호대 졸업 후, 한국에서 8년간 임상 간호사로 일하다가 1984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간호사로서 전문성을 키우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UC 샌프란시스코에서 간호학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건강 연구의 길로 들어섰다. 이 교수는 “의학은 질병의 진단과 처방이 중점이고, 간호학은 환자의 병리적 증상을 완화하는 처치가 중심인 분야”라며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만큼, 연구에서도 강점이 다르다”고 했다.

한인 간암 발병률과 ‘건강 불평등’ 연관성 입증

그는 1980~1990년대 미국의 한인 이민자들에게서 간암 발병률이 높은 이유를 밝혀내는 등 미국 사회의 ‘건강 불평등’ 해소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인은 B형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한 경우가 많은데, 당시 미국 공중보건 정책에서 B형간염 관리를 하지 않아 간염이 간암으로 발전하는 사례가 많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당시에는 ‘한국인이 음주를 즐기기 때문에 간암이 많은 발병하는 게 아닐까’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연구를 해보니 문제의 원인은 ‘건강 불평등’이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미국에서도 10년간 임상에 있었지만, 연구가 적성에 맞았다고 한다. 올해 70세로 은퇴 연령을 넘겼지만, 뉴욕과 말라위를 오가며 말라위에서 자궁경부암을 근절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그는 인터뷰 전에 다녀온 말라위 출장에서 낙상으로 뼈가 부러지는 사고도 겪었지만 세상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즐겁다고 했다.

이 교수는 “저 자신도 노년 그룹에 속하기 때문에, 알츠하이머 집단 연구에 깊이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을 장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