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당국의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 지정으로 종합금융투자사업자들의 수신 기능이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투자처 발굴·운용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객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서는 경쟁사보다 높은 금리의 IMA 수익률을 제공해야 하는데 금융 당국이 모험자본 분류 기준을 더 까다롭게 만들며 자기자본 투자 난도가 높아졌다. 특히 증권사는 대규모 자금 조달과 기업금융 공급에, 은행은 기존 예금 고객 방어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돼 무한 수신 경쟁 시대도 막이 올랐다는 평가다.
1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이르면 다음 달 초 IMA 1호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막바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들 상품의 약관과 투자 설명서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 모두 시중 예금금리는 물론 시장 수익률과 비슷한 이자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포트폴리오 일부를 성장성 높은 지분증권 등에 투자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미래에셋증권도 배당형보다는 공격적이되 프로젝트형(초기 기업 지분 투자)에 비해 안전한 실적배당형 상품을 1호 상품으로 준비하고 있다. 두 상품 모두 만기 1년 이상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달 출시될 상품에는 목표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는 않는다. 전례 없던 금융 상품이 출시되는 만큼 과장 광고를 막겠다는 취지다. 대신 성과 보수 설정에 필요한 기준 수익률, IMA 주요 투자 대상 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투자 설명서에 담길 예정이다. 추후 IMA 상품 실적이 쌓이게 되면 해당 상품의 과거 운용 수익률이 제시될 수 있다.

IMA는 고객이 예탁한 자금을 종투사가 운용해 수익 발생 시 원금과 함께 실적 배당하는 상품이다. 만기 보유 시 원금 지급 조건이 붙어 있다. 투자금의 70% 이상이 기업금융(IB) 부문에서 운용되는 만큼 투자자는 시중금리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고 종투사는 자기자본의 100% 한도까지 끌어올 수 있는 고객 예탁금으로 사업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IMA를 통해 모험자본 공급 확대 물꼬가 트였다고 평가했다. 두 증권사는 발행어음과 함께 IMA로 조달한 금액의 10%(2028년까지 25%로 상향)에 상응하는 자금을 당장 내년부터 모험자본에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지기 때문이다.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의 자기자본은 올 3분기 별도 기준 각각 12조 219억 원, 10조 3106억 원이다. 만약 이들이 IMA와 발행어음의 통합 발행 한도(자기자본의 300%)를 모두 채워 자금을 조달한다고 가정하면 2028년 이들이 공급해야 할 모험자본 규모는 16조 7694억 원 이상이어야 한다. IMA 사업자 지정을 대기 중인 NH투자증권까지 포함된다면 규모는 훨씬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원금 지급+실적 배당’이라는 IMA 상품 조건을 상쇄하는 수익률을 모험자본 투자로 올릴 수 있느냐다. 금융 당국은 이날 기존 모험자본의 범위에 포함됐던 중견기업과 신용등급 ‘A급’ 회사채의 모험자본 의무 이행 실적을 모험자본 공급 의무액의 최대 30%까지만 인정하기로 했다. 종투사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은 모험자본(벤처투자조합·신기사조합·코스닥벤처펀드·하이일드펀드·소부장펀드 등) 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다. 국민성장펀드의 첨단전략산업기금과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도 모험자본 분류에 추가됐으나 아직은 성과를 예측할 수 없는 투자처다.
국내 증권사 IB 부문의 한 고위 관계자는 “모험자본 의무 공급 비율 25%는 마음만 먹으면 2027년에도 맞추는 게 가능하다”며 “모험자본 투자로 과연 돈을 벌 수 있느냐가 문제인데 앞으로는 투자처 발굴과 운용 두 가지 측면에서 종투사 간 진검승부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종투사 간 치열한 수신 경쟁이 출혈 경쟁으로 이어져 자칫 투자자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IMA나 발행어음 금리를 1% 더 준다고 하는 게 투자자들에게는 긍정적이지만 운용 측면에서는 엄청난 리스크”라며 “특히 은행지주 계열 증권사들은 더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수 있는데 이 같은 경쟁이 과열되면 결국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익률 달성하면 채권으로 전환… 초보자도 '이 펀드'는 안심 [코주부]](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7547X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