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덕텔링] [단독] 한화 투자한 '드론헌터', 록히드마틴 대드론 체계 '낙점'

2025-10-10

[비즈한국]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023년 투자한 포르템 테크놀로지스(Fortem Technologies)의 ‘드론헌터 700(DroneHunter 700)’이 세계 최대 방산기업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의 대드론 체계 ‘생텀(Sanctum™)’에 적용된다. 록히드마틴은 한화시스템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포르템의 제품을 자사의 대드론 체계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번 채택을 계기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투자한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의 성장은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더불어 록히드마틴과 같은 ‘드론헌터’​를 운용하는 한화시스템의 대드론 체계 역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0월 8일, 세계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은 자사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새로운 대드론 방어체계인 ‘​생텀’​을 공개했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생텀은 다층 방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먼저 기존 대공 방어체계와 통합된 지휘소에서 AI 알고리즘 기반의 지휘통제 시스템이 적 드론을 탐지하고 위협을 분류한다.

교전이 시작되면 첫 단계로 HPM(고출력 마이크로파) 무기를 탑재한 드론이 출격해 고출력 전자파를 방사하여 적의 군집 소형 드론을 무력화한다. 1차 방어 후에는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의 ‘드론헌터 700’​이 발진한다. 드론헌터는 표적 드론에 접근해 그물총(NetGuns™)을 발사, 포획한다. 그물에 걸린 드론은 비행 능력을 잃고 그물에 부착된 낙하산에 의해 안전하게 지상으로 유도된다. 마지막으로 이 두 단계의 방어를 모두 돌파한 드론은 전술 레이저 무기가 3차로 요격한다.

포르템 테크놀로지스는 생텀 시스템에 드론헌터 700 포획 드론과 트루뷰(TrueView®) 드론 탐지 레이더를 공급한다. 이번 계약을 통해 포르템 테크놀로지스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투자한 대드론 체계 전문 스타트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드론 체계 시장은 2019년 6억 8,500만 달러에서 2027년 47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이미 세계적으로 수십 개 이상의 업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처럼 치열한 시장 상황에서 세계 최대 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의 첫 대드론 체계에 핵심 솔루션으로 채택되었다는 사실은 포르템의 향후 수출과 시장 확대에 큰 동력이 될 전망이다. 특히 드론헌터 700의 그물 포획 방식은 상당한 경쟁력을 가진다. 총이나 미사일 격추 방식에 비해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포획된 드론의 잔해가 그물 안에 보존되어 적의 기술을 분석하거나 출처를 추적하는 법적 증거 확보에도 유리하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많은 고객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록히드마틴이 자사 시스템에 드론헌터를 채택하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2023년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록히드마틴 등과 함께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에 총 1780만 달러(약 225억 원)를 공동 투자했기 때문이다. 한화의 경우 공동 투자 후 자신들의 대드론 체계에 곧바로 적용한 것을 고려하면, 록히드마틴의 드론헌터 채택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

또한 두 회사가 포르템에 투자한 조건은 조건부 지분인수계약(SAFE) 방식으로, 투자 당시에는 기업가치를 확정하지 않고 향후 추가 투자 라운드에서 결정되는 기업가치에 따라 지분을 취득하는 입도선매 성격의 투자다. 따라서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의 기업가치가 커지는 만큼 초기 투자자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록히드마틴은 향후 매출 확대에 따른 높은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투자 이익 이외에도 록히드마틴이 드론헌터 700을 대드론 체계에 적용함으로써 한화시스템 역시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한화시스템은 록히드마틴보다 먼저 대드론 체계에 드론헌터 700을 적용한 실적이 있다. 2023년 3월 한국 군 시험장에서 드론 포획 시범에 성공했으며, 현재 탐지기, 레이저 발사기, 포획 드론을 소형 전술 차량에 통합한 ‘이동형 안티드론 시스템’을 선보인 바 있다.

필자는 한화시스템이 록히드마틴보다 먼저 드론헌터 700을 자사 대드론 체계에 통합한 경험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통합 노하우와 운용 경험을 선점했다는 의미이므로, 향후 록히드마틴과의 기술 협력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평가한다.​

김민석 한국국국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밀덕텔링] '무인 전력' 강조한 국군의 날, 모형 전시가 주는 실망감

· [밀덕텔링] '2027년 중국 침공설' 대비하는 대만, TADTE 2025 참관기

· [밀덕텔링] 'KF-21 10대만 구매' 인도네시아 전문가의 말은 과연 사실일까

· [밀덕텔링] [단독] 대한항공, 신형 소형 협동무인기 KUS-FX 개발 착수

· [단독] 마하6 극초음속 비행체 '하이코어' 시험 발사 성공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