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활동 전체 3% 그쳐
인증 등 현지 규제 ‘발목’
재정∙마케팅 지원 수요 커
[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소프트웨어(SW) 기업이 전체의 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W정책연구소가 20일 발간한 ‘SW기업의 해외진출 및 지원사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SW 산업에서 해외진출 활동 기업은 2019년 3.8%, 2020년 3.2%, 2021년 3.3%, 2022년 2.9%, 2023년 3.0%로 최근 5년간 3% 내외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해외진출 활동 기업을 해외에서 매출이 발생한 ‘수출기업’과 시장조사 등 해외진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 해외매출은 없는 ‘잠재수출기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SW 산업은 크게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인터넷SW(정보서비스) 등 4개 분야로 나뉘는데, 그 중 게임SW의 해외진출 활동 비중이 지난해 기준 13.3%로 가장 높은 반면 인터넷SW는 1.5%로 가장 낮았다.
잠재수출기업은 인터넷SW 분야에서 많았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기준 제로였던 비중이 지난해 37.3%까지 올랐는데, 팬데믹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해외 진출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게임SW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같은 기간 2.0%에서 14.2%로 늘었고, 패키지SW에선 지난해 기준 36.2%가 잠재수출기업으로 집계됐는데 코로나 이전보다 크게 늘진 않았다.
기업 규모를 보면 지난해 기준 대기업(13.4%)보다 중소기업(28.4%)이 더 많기 때문에,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패키지SW나 인터넷SW 분야에선 맞춤 지원이 요구된다는 분석이다.
특히 해외진출 활동 경험이 거의 없는 초보 기업에는 초기 시작을 위한 맞춤 컨설팅 지원 등이 필요한데, 현행 지원사업들 중에는 컨설팅 관련 사업이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들의 경우 해외진출에 관한 애로사항도 풀어야 할 숙제다.
해외수출이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인증·계약 등 현지 규제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했다. 잠재수출기업으로 분류된 중소기업들은 규제 차이뿐만 아니라 자금 부족, 현지정보 부족 등 여러 애로사항들을 동시에 겪고 있었다.
해외진출과 관련해 기업들이 원하는 정부 지원은 재정지원(62.1%), 마케팅∙현지화(39%), 인프라∙행정(28.7%), 정보제공(28.7%), 인력∙교육 지원(14.2%), 기술∙인증(13.2%)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패키지SW 분야에선 전년대비 지난해 재정지원(17.9%→79.3%) 요구가 급증했고, 게임SW는 재정지원 요구는 낮은 반면 마케팅∙현지화(55.7%)에 대한 지원 수요가 컸다.
보고서는 “정부지원 요구사항은 다수 기업에 대한 보편적 혜택 성격이 강한 요구사항과 개별 해외진출 활동기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요구사항이 나뉘므로, SW 산업계의 의견수렴과 함께 가시적인 수출증대 가능성의 조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개별기업에 축적되는 해외진출 노하우, 특정국가 시장 및 고객정보를 국내 SW산업계 전반에 확산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