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철강부터 건설, 하이테크까지 불굴의 성장 신화를 써온 포스코그룹이 대통령부터 정치권까지 우리 사회 곳곳으로부터 날선 질타를 받고 있다. '안전과 혁신'이라는 회사 근본 가치가 뿌리채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룹 건설 계열사인 포스코이앤씨에서 잇따라 발생한 인명사고는 기업의 존재 가치를 망가뜨렸을 뿐 아니라 이제는 그 책임이 그룹 안전 컨트롤타워 격인 장인화 회장을 향하게 만들었다.
30년 넘게 포스코맨으로 살면서 기술 혁신을 이끌며 끝내 회장에 오르는 영예를 안았지만, 작업자 안전을 지키는 기술은 만들지 못했거나 확보하지 못한 불명예 또한 동시에 갖게 됐다.
당장,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1997년 성수대교 붕괴사고를 낸 동아건설에 대한 건설업 면허취소 뒤 38년만의 면허 취소를 걱정해야할 처지에 놓였다. 이달말부터는 하도급 실태를 포함한 전국 공사현장에 대한 전수조사까지 받게 됐다.
대통령이 휴가지에서 조차, 매뉴얼에 따른 철저한 조사와 행정제재 검토 지시를 내린 이상 포스코이앤씨가 그간 사고 때마다 몇차례 형식적 사과나 개선 조치 등으로 끝나진 않을게 분명하다. 이제야 말로 건설업 철수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준비해야할 처지다.
사실, 하인리히법칙 처럼 포스코엔 최근 연도만 따지더라도 이같은 파국을 부르는 크고 작은 신호들이 계속 나왔다. '2024 포스코홀딩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초 장인화 현 회장 취임 직전년도인 2023년 7명에 그쳤던 철강부문 임직원 재해자 수는 취임 당해 26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협력사 재해자 수도 17명에서 2024년 24명으로 늘었고, 인프라 부문 협력사 재해자 수 역시 68명에서 70명으로 늘었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작업중 재해 사망자 수는 2명에서 6명으로 세배 폭증했다.
이쯤 되면 포스코그룹 차원의 안전 철칙이 지주사 내부는 물론 계열사, 협력사까지 일관되고 철저하게 작동하고 실행되는지부터 따져봐야할 일이다. 어딘가 허점이 있다면 과감히 도려내고, 완전히 새로운 체계의 안전 예방·감지·대처·사후조치 시스템을 만들고 안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철강 보국이라는 사시로 출발해 오늘날 국가 성장의 든든한 밑받침이 된 포스코. 쇳물을 다루는 위험한 환경에서도 기업 성장은 물론 대한민국 성장을 이끌수 있었던 것은 안전에 대한 앞선 경영자들의 철학과 원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다시, 안전의 이름으로 포스코를 다시 세우는 작업이 필요하다.